[사설]지역업체 하도급 비율 확대, 지역경제 살리는 길이다
2023-04-28 이재명 기자
지역 건설업체의 하도급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형 건설업체들의 적극적인 협조 없이 하도급 비율을 높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정부에서 아무리 지역균형발전을 외쳐대보지만 시에서 직접 대형 건설사들을 상대로 적극적인 설득 작업을 벌이지 않는 한 하도급 비율을 높이는 것은 공허한 메아리에 그칠 뿐이다.
그런 면에서 이번 협약에 참가한 대형 건설사들은 이제 울산과의 동반자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은 300가구 이상 공동주택, 건축 연면적 1만㎡ 이상 민간 건설공사, 강동관광단지 조성 공사, 열병합발전소 건설 공사 등 울산에 대형 공사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대우건설, 롯데건설, SK에코엔지니어링, HDC현대산업개발, 호반건설, 한신공영, 삼환기업 등은 이름만 대면 알 수 있는 메머드급이다. 이들이 지역 건설사들과 협약을 체결했다는 것은 의미가 적지 않다.
현재 울산지역의 하도급 비율은 지난해 연말 기준 28.18%이다. 시는 이같은 협약을 계속 체결해 하도급 참여 비율을 30% 이상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울산시가 지금까지 해 온 노력을 보면 충분히 가능한 일로 판단된다. 실제 울산시의회 문석주 산업건설위원장은 지난 10일 ‘울산시 지역건설산업 발전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발의했다. 이 개정조례안에 따르면 민간 건설공사에 대해서도 착공계 제출 시 ‘지역 건설산업활성화 방안 마련’이 권고된다. 또 시는 지난 1월 ‘2023년 건설산업 하도급 참여 확대 계획’을 수립했다. 여기에는 지역 민간공사 참여 확대 지원 등이 명시돼 있다. 무엇보다 시는 지난해 6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대형 건설업체 본사를 찾아 지역 건설업체의 공사 참여를 요청한 것은 발로 뛰는 행정을 손수 보여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울산시가 대형 건설사들과 적극적으로 협약을 맺은 것은 이례적이고 환영할 만한 일이다. 물론 대형 건설사들의 호응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지만 제3, 제4의 협약이 이어질 경우 울산경제에는 분명 변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