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보호구역 느는데…교통단속장비는 부족
2023-05-02 박재권 기자
1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지역 내 어린이 보호구역에는 90% 이상 무인교통단속장비가 설치된 반면 노인보호구역은 28.6%에 그쳐 시가 지속적인 보강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시는 지난해 9월 ‘교통사고 사망자 절반 줄이기’ 추진 계획을 발표하며 노인보호구역 개선의 일환으로 무인교통단속 장비 신규 설치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시는 올해 행정안전부 지역 교통안전 환경개선사업에 따라 9억원을 확보, 상반기동안 지역 노인보호구역 130곳 중 22곳에 무인교통단속 장비, 신호기 등을 신규 설치했다.
지역 내 노인보호구역은 지난 2021년 110곳에서 2022년 130곳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울주군 55곳, 북구 31곳, 동구 18곳, 중구 15곳, 남구 11곳이다.
하지만 노인보호구역을 추가 지정하면서도 안전표지나 통행 속도위반을 단속하기 위한 무인교통단속 장비 등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시는 노인보호구역은 CCTV 의무 설치 구역이 아닌 데다 단속 장비가 대당 4000만원을 넘는 등 예산 문제가 있었고, 그동안 정부 방침이 어린이 보호구역 확충 및 개선에 치중돼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노인보호구역 지정은 경찰청 및 도로교통공단 등과 협의해 지정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장비 설치 등 보강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재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