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도심융합특구 기본계획, 미래울산 토대 닦는다
울산시가 도심융합특구 조성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시는 내년 5월까지 기본계획을 마무리짓고 국토부의 승인을 얻은 뒤 2028년까지 부지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계획 수립은 국토연구원이 맡는다. 시는 앞서 지정된 다른 도시보다 출발이 늦었지만 국회에서의 특별법 통과가 늦어지는 바람에 상대적인 불리함은 상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기본계획의 핵심은 도시융합특구의 장점을 얼마나 잘 살리느냐 하는 것이다. 도심융합특구 사업은 한 마디로 도심에 기업,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산업, 주거, 문화 등 우수한 복합인프라를 갖추는 것을 말한다. 산업과 주거, 문화시설을 한 곳에 고밀도로 건설한다는 것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혁신’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업·주거·문화를 완전히 융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애초부터 기본계획을 체계적으로 잘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행히 울산은 도심융합이 이미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고, 혁신공간이 군데군데 자리잡고 있다. 이번에 도심융합특구가 된 곳은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일원(162만㎡)과 중구 울산테크노파크 일원(31만㎡)으로 총면적은 193만㎡이다.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중구와 울주군 2곳이 도심융합특구로 함께 지정된 것은 이례적이다. 그렇지만 두 지역 사이에 UNIST와 울산대학교가 있어 산학협력이 가능하고, 인근에는 선바위와 다운2 공공주택지구가 조성되고 있어 주거 인프라는 좋은 편이다. 특히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는 주변에 하이테크밸리와 길천, 반천 산업단지가 위치해 있고 KTX와 경부고속도로 등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또 중구 울산테크노파크 일원은 울산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이 위치해 있으며, 장현도시첨단산업단지와의 긴밀한 연계도 가능하다.
도심융합특구는 국토부가 추진하는 국토균형발전 방안의 하나다. 울산·부산·대구·대전·광주 등 전국 5개 거점에 복합혁신공간을 만들어 청년 인재를 지방으로 유인하겠다는 전략이다. 국토부가 모델로 삼은 곳은 청년창업의 성지로 꼽히는 판교테크노밸리다. 2021년말 기준 1697개의 창업·벤처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울산은 기존 주력산업을 넘어 미래 산업으로 가는 변곡점에 서 있다. 그런 점에서 도심융합특구는 울산 도심에 역동성을 불어넣는 신선한 청량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도심융합특구 조성기본계획 수립은 울산의 새로운 틀을 짜맞추는 작업이라고 할 만하다. 울산시와 국토연구원의 분발과 그에 따른 결실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