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울산 산업재해 사망자수 큰폭 감소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 시행에 따른 기업체 자구 노력과 함께 경기침체 여파로 제조업 가동률이 줄어든 영향으로 올해 1분기 울산지역 산업재해 사망자수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지 주목된다.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23년 3월말 산업재해 현황 부가 통계 -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울산지역 산재 사망자는 1명(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명(5건)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 울산지역 산재 사망자는 2018년부터 매년 20건 이상 발생해오다 지난해 14건으로 급감했고, 올 들어 더 줄었다.
울산에서는 올해 2월말 남구의 한 공장에서 공장 증설 공사중에 60대 노동자가 추락해 사망한 사고 외에는 사망사고가 없었다. 정유·석유화학업체는 물론 해마다 중대재해가 발생하며 ‘중대재해 다발 사업장’이라는 오명을 떨치지 못했던 HD현대중공업도 올해 4월초 ‘무(無) 중대재해 1년 달성’이라는 가시적 성과를 거두었다.
이처럼 산재 사망자수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은 지난해부터 시행된 중처법에 따른 지역 기업체들의 전사적인 자구 노력으로 대형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게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다. 또 경기침체 여파로 제조업 가동률이 줄어든 것도 요인으로 분석됐다. 이외에도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 등 유관기관의 관리 감독, 각종 안전문화 확산 캠페인도 한몫 한 것으로 풀이됐다.
고용노동부 울산지청 관계자는 “1분기 결과만 놓고 울산지역의 산재 사망자수가 크게 줄었다고 단언하기에는 아직 이른감이 있다”면서도 “중처법 시행과 법 시행에 지역 기업체들의 대응 노력 등이 합쳐진 결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국적으로는 올해 1분기에 128명(사고 124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 147명(133건)보다 12.9%(19명) 줄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 65명(63건), 제조업 31명(30건), 기타업종 32명(31건) 발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건설업은 6명, 제조업은 20명 줄었지만, 기타 업종은 오히려 7명 늘었다.
노동부는 “산재 감소 추세가 이어지려면 사업장들이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