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총선 대비 여론전 포석깔기 나서
2023-05-30 김두수 기자
특히, 여야 지도부는 공개적으로 ‘총선전략’이라는 용어는 쓰지 않으면서도 각각 조직과 정책을 통해 여론 업그레이드 전략에 올인하고 있는 모양새다.
29일 여야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시민사회 선진화 특별위원회’(가칭)를 출범시키고 위원장에 하태경 의원을 정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비공개 화상 최고위원회를 열고 하 의원을 특위 위원장으로 하는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특위는 20명 안팎 규모로, 원내 의원 10여명과 참여연대 집행위원장을 맡았던 김경률 회계사, 박원순 전 서울시장 시절 시민단체 지원 사업을 비판했던 김소양 전 서울시의원 등이 참여하기로 했다.
당은 철저하게 시민단체 운영 전반에 대한 점검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특위의 정식 명칭은 이날 최고위회의를 거쳐 확정됐다.
최근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을 지원해온 시민단체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징용 판결금 2억원 가량을 받은 피해자 유족들에게 11년 전 약정을 근거로 판결금의 20%를 요구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국민의힘은 이와 함께 여론에 민감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 귀국을 계기로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재개 가능성을 거론하는 야당 공세에 대해 ‘괴담 정치’라고 일축하는 동시에 금주중 시찰단의 공식보고를 통해 정면 돌파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당 우리바다지키기 검증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인 성일종 의원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과 관련해 “국민들이 궁금해하기 때문에 금주에 시찰단의 보고가 있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다음 달 2일 워크숍을 갖고 원내 운영 전략을 집중 논의키로 했다.
박광온 새 원내지도부 출범 한 달을 맞은 만큼 원내 운영 기조를 분명히 하고 구체적인 입법 전략 등을 사전에 수립하기 위해서다. 특히 이재명 지도부가 잇따른 악재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에 투톱인 박 원내대표 중심으로 원내전략을 통해 정면 돌파하겠다는 구상인 셈이다.
현재 당내 기류는 ‘22021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에 이어 ‘김남국 코인’ 의혹이 터지더니 이번엔 대의원제 존폐 논쟁까지 불거지면서 해묵은 ‘집안싸움’이 다시 가열되는 기류다.
박 원내대표 취임 후 처음 열리는 이번 워크숍에서 초점이 맞춰진 부분은 정국 인식 공유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입법을 위해선 여론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는 게 먼저라는 취지다. 원내지도부는 논의 결과를 토대로 다가오는 6월 임시국회는 물론 9월에 시작되는 정기국회 시기까지 필요한 중장기 원내 운영 전략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워크숍에선 사실상 민주당이 단독으로 입법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각종 쟁점 법안들의 향후 추진 전략도 논의될 전망이다.
민주당이 주도해 본회의에 직회부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법’(방송 3법 개정안)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개정안) 그리고 교육위에서 민주당이 단독으로 처리한 ‘학자금 무이자 대출법’(취업 후 학자금 상환 특별법 개정안) 등이 대표적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