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박물관·도서관에도 생활문화동호회 생긴다
■문체부 지역문화 진흥계획
울산지역 6곳 생활문화센터
구군문화활동 거점공간으로
10월 문화의달엔 예술축제도
2020-02-10 석현주 기자
울산지역 6곳에서 운영되는 생활문화센터가 구군문화활동 거점공간으로 대폭 확장된다.
앞으로 10월 문화의달에는 문화의날(10월 셋째 토요일) 전후로 울산주민들이 주도하는 문화예술축제도 펼쳐진다.
문화체육관광부가 10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2차 지역문화진흥기본계획(2020~2024)’을 발표했다. 주민들의 생활문화 활동이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계획은 ‘포용과 혁신의 지역문화’라는 비전 아래 시민의 참여로 문화자치 생태계 구축, 포용과 소통으로 생활기반 문화환경 조성, 지역의 개성 있는 문화 발굴·활용, 문화적 가치로 지역의 혁신과 발전 등 4대 전략과 15개 핵심과제가 담겼다.
세부내용에 따르면 도서관·박물관·미술관마다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생활문화동호회를 구성해 활동을 펼칠 수 있게 ‘1관(館) 1단(團)’ 정책이 시작된다.
‘누구나 어디서나 무엇이든’ 문화활동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생활문화동호회를 지원하는 사업도 병행한다.
전국단위 생활문화센터는 올 한해 161개소가 추가로 조성돼 전체 352곳으로 늘어난다.
울산지역에서는 현재 중구, 북구, 울주에 총 6곳이 운영되고 있다.
‘문화의 달’ 행사는 그 동안 전국을 순회하며 진행됐으나 올해부터는 정부와 지자체가 손잡고 각 지역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무엇보다 지역의 고유문화 보전을 위한 사업도 활발해 진다.
이번 발표에는 지역 문화를 응축한 지역어(사투리)를 보전할 수 있도록 지역별 방언과 언어문화를 조사하고, 지역어 사전·지역 언어문화 지도까지 제작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에 따라 세대와 시류의 변화에 따라 점점 잊혀져가는 울산사투리를 기록하고 연구·보존하는 학술 및 저술사업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올해부터 100억원의 예산을 들여 특색있는 문화자원으로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문화도시’를 조성해 나간다.
1차 대상은 작년 말 선정한 지자체 7곳이며, 2024년까지 최대 3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홍영진기자 thinpiz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