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탄소중립 특화연구집적단지 속도낸다
울산시가 탄소중립 특화연구집적단지 부지로 낙점한 중구 테크노파크 일원의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청신호가 켜졌다. 국토교통부가 한국임업진흥원의 환경등급 조정 의견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에 따라, 동해가스전 CCUS 사업에 이어 탄소중립 특화연구집적단지 조성도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기대가 일고 있다.
11일 시에 따르면, 시는 중구 테크노파크 뒤편 다운목장 부지 일원 18만8830㎡ 부지를 대상으로 탄소중립 특화연구집적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산업단지가 밀집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국 4위를 차지함에도, 지역 기업의 상당수가 탄소중립 정책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탄소중립 흐름을 따라가지 못할 경우 기업 경쟁력에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신재생에너지 활용 및 탄소 배출 구조 혁신을 지원하는 컨트롤 타워를 조성키로 했다. 탄소중립 특화연구집적단지에는 탄소중립과 관련된 스타트업의 육성을 지원하는 U-스타베이스 지구, 탄소 배출 저감 공정의 최적화 모델을 설계하는 그린 스마트 제조공정 혁신지구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당초 다른 사업과 연계하지 않고 탄소중립 특화연구집적단지 조성을 개별 사업으로 진행했다. 그러나 사업 추진 과정에서 개발제한구역 해제라는 난관을 만났고, 이에 탄소중립 특화연구집적단지 사업을 도심융합특구에 포함시켜 추진키로 했다.
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위해 국토부와 사전 협의를 시작했고, 최근 들어 긍정적인 기조를 감지했다.
사업 구역 안에는 환경평가 2~5등급지가 혼재해 있는데, 이 중 17%에 불과한 2등급지가 중심부에 위치해 해제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토부는 1~2등급지가 포함될 경우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꺼린다.
그러나 사업 구역 내 2등급지는 육안 상 인근 3~4등급지와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개발된 상태이고, 시는 이 점을 집중 공략했다.
핵심 부지가 2등급지로 분류된 것은 국토부가 한국임업진흥원이 평가하는 임지생산능력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한국임업진흥원이 해당 부지에 대한 임지생산능력 2급지 기준을 변경할 경우 이를 환경평가 등급에 반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답변했다. 이에 시는 한국임업진흥원과 임지생산능력 급수 조정을 협의했다. 한국임업진흥원은 지난 4월 현장을 방문해 산림 토양 성분 조사를 실시했고, 최근 해당 지역은 ‘등급이 없는 비산림지’로 조사됐다는 결과를 통보했다.
시는 지난주 국토부에 협의 결과를 제시했고, 국토부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환경평가 등급을 조정하는 대신 울산시장이 자체적으로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는 방안을 긍정 검토한다는 것이다.
시는 탄소중립 특화연구집적단지 개발 관련 도시관리계획 변경(개발제한구역 일부 해제) 용역과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 등 2건의 용역을 진행 중인데, 국토부 협의에 따라 조만간 용역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한 뒤 2028년까지 부지를 정비해 산단을 조성할 계획”이라며 “공모를 통해 각종 계획 지구가 입주하게 되면 울산이 탄소중립의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