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자연훼손 최소화 설득에 달렸다
영남알프스 케이블카가 환경부의 심판대에 올랐다. 환경부 산하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지난 3월부터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협의를 시작했다. 초안 협의가 완료되면 곧바로 본안 협의가 진행된다. 전략환경영향평가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계획을 수립할 때 사업의 전반적인 요소에 걸쳐있는 관할 법과의 부합 여부, 환경보전계획과의 부합 여부 등을 확인하고 환경적 측면에서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 점에서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사업의 키를 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울주군은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케이블카 사업의 타당성을 적극적으로 설득할 필요가 있다. 주민들의 20년 숙원사업이 해결되느냐 마느냐는 울주군의 적극적인 의지에 달렸다고도 할 수 있다.
영남알프스 케이블카는 설악산국립공원 오색케이블카 설치와 직접적으로 맞물려 있다. 지난 2월 환경부 원주지방환경청은 오색케이블카 설치사업 환경영향평가에 대해 ‘조건부 동의’ 의견을 내놓았다. 조건은 산양 등 보호종에 대해 서식지 기능을 높일 방안을 마련할 것, 보호식물에 대해 추가로 현지 조사를 실시할 것, 상부정류장의 위치를 해발고도 1480m에서 1430m로 조정하고, 규모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할 것 등이었다.
이와 관련, 울주군은 상부정류장의 위치를 신불산 해발 850m 지점인 신불산 억새평원 인근으로 변경해 낙동정맥을 완전히 벗어나도록 했다. 낙동정맥을 훼손하지 않고 간월산과 신불산 칼바위, 신불평원 등을 두루 섭렵할 수 있는 2.47km의 최적 노선을 선택한 것이다. 군은 또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주를 기존 4개에서 3개로 줄이는 방안을 찾고 있다. 이만하면 자연훼손이라는 비난은 충분히 비켜갈 수 있다고 생각된다.
환경단체들은 케이블카 설치 자체만으로도 자연은 훼손된다며 사업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이 가운데 무등산, 소백산, 속리산, 북한산 등 전국 각 지역에서는 케이블카 추진이 거론되고 있다.
영남알프스는 1000m급 산봉우리 9개가 이어져 있는 아름다운 산군이다. 특히 간월재에서는 매년 가을 전국 최고의 산상 음악회가 열린다. 그런데 이 아름다운 산군은 젊고 건강한 사람들만 오를 수 있으며, 이들만 음악회를 감상할 수 있다. 환경단체는 케이블카로 인한 자연훼손을 주장하지만 실제 등산객들이 더 많이 자연을 훼손하고 더 많이 쓰레기를 버리고 있다. 울주군이 제시한 환경훼손 해법에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