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연체율 심상찮다
국내은행의 분기 말 연체율이 2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오르는 등 금융권 전반의 건전성이 나빠졌다.
특히 시장 금리가 짧은 기간 큰 폭으로 오르면서 한계기업들의 부실화 가능성이 큰 만큼, 은행권 자산 건전성 관리에 힘쓸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5일 ‘국내은행 건전성 위협요인·향후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국내은행 분기별 연체율은 지난해 6월 말 이후 상승세로 돌아섰으며, 지난 3월 말에는 0.33%를 기록해 2020년 6월 말 이후 가장 높았다. 저축은행 연체율도 지난 3월 말 기준 5.1%로 2017년 6월 말 이후 5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신용카드사 연체율도 지난해 말부터 상승세로 돌아섰다.
최근 금융권 건전성 악화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가계와 기업 등 차입자들의 이자 부담이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짧은 기간에 금리가 높은 상승률을 보여 기업들이 고금리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데다,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거나 복귀가 어려울 수 있어 한계기업의 부실화 가능성이 커졌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은 지난 2014년 이후 26~28% 수준을 유지했으나 2018년 이후 30%를 웃돌았다. 지난 2022년에는 35.1%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30.9%)보다 높았다.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대출 만기 연장, 상환유예제도 중 상환유예가 오는 9월 종료될 예정이라는 것도 자산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상환유예 지원 대상 여신은 전체 잔액(85조3000억원)의 7.7%인 6조6000억원이며 상환계획서에 따라 오는 2028년 9월까지 분할 상환을 할 수 있다.
석현주기자 일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