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지역발전 걸림돌 온산선, 반드시 폐지되어야
최근 ‘온산선 폐지를 위한 공동추진위원회’가 출범하는 등 울주군 온양읍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온산선 폐선 요구 목소리가 높다. 추진위는 지역 곳곳에는 관련 현수막을 게시하고, 주민들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에 나서는 등 활동 동력을 모으고 있다. 아울러 온산선을 이용하는 기업체에 협조를 요청하고, 국토부와 한국철도공사 방문을 계획하는 등 활동의 폭도 넓혀나갈 방침이다.
‘온산선’은 남창역에서 온산역까지 8.6㎞ 길이의 단선 철로로 지난 1979년 준공된 온산선. 온산산업단지의 화물처리를 위한 전용 노선으로 오랜 기간 산단 내 기업체들의 물류 수송을 위한 동맥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기업의 물류 수송체계가 다각화되면서 온산선을 이용한 물류 수송량은 급감했다. 현재는 영풍과 S-OIL에서 황산과 공군 항공유를 수송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횟수는 각각 1일 2회 정도 수준이다.
해당 철도노선에 대한 주민들의 폐지 요구는 오래된 이야기다. 지난해에는 울산시의회 차원의 폐선 촉구 대정부 건의안까지 채택됐지만, 한국철도공사는 선로의 신설 및 폐지는 국토교통부의 소관이고, 전시 상황 등을 감안해 공군 측에서 철도수송을 선호하고 있다는 이유로 불가 방침을 고수했다.
주민들이 온산선 폐지를 주장하는 주된 이유는 유독성 물질을 실은 화물열차의 안전성 문제와 남창역에서 동쪽으로 뻗어 있는 해당 철도노선이 지역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데 있다. 실제 온산선이 남북을 지나는 동해선과 남창역에서 만나면서 온양지역은 철도노선을 기준으로 모음 ‘ㅏ’ 형태로 3등분 된다. 여기에 남창천과 고산천까지 감안하면 지역은 6등분까지 나뉜다.
광역전철과 일반열차가 다니는 동해선은 어쩔 수 없고, 하천에 따른 단절이야 지자체 판단에 따라 교량을 연결하면 되는 사안이지만, 도시의 올바른 개발을 위해 그 역할을 다한 온산선만이라도 폐지시켜야 한다는 것이 지역 주민들의 주장이다.
올해 초 한국철도공사의 불가 방침 공식화로 일단락되는가 싶었던 해당 철도노선의 폐지 요구는 최근 온산선의 철도건널목이 지역 개발사업의 실제 걸림돌 사례로 작용하면서 재점화됐다. 철도건널목 인근 3개 아파트 시행자 측이 도로를 확장하기 위해 철도건널목 구간의 4차로 확장 가능 여부를 질의했으나 불가 회신을 받은 것이다.
협의 주체인 국가철도공단 측은 사고 위험을 들어 확장 시 건널목 구간을 지하로 입체화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해당 지역은 입체형 교차로 건설이 어려운 곳으로 철도건널목 구간만 2차로로 남겨 놓고 사업을 추진해야 할 판이다. 결국 병목현상이 불가피한 기형적 도로가 만들어진다는 것인데, 이 같은 사례를 보는 온양지역 주민들은 한때 ‘마의 정체구간’으로 불리던 인근 대안지하차도 사례를 떠올리고 있다.
동해선 밑을 지나는 왕복 2차로 대안지하차도의 확장이 불가능해 오랜 기간 얼마나 큰 불편을 겪었던가. 우회 방안으로 개설된 소골과선교 교량 건설공사는 실시설계를 마쳐 놓고도 완공 때까지 20년의 시간이 걸렸으며, 그 기간 불편은 오롯이 주민들이 감내해야 할 몫이었다. 이처럼 철도로 인한 지리적, 공간적, 심리적 단절감을 겪어 봤던 터라 온양지역 주민들의 온산선 폐지 목소리는 클 수밖에 없다.
남창역세권 개발사업 등 울산시와 울주군이 추진 중인 남부권 신도시 개발 계획으로 제2의 성장기를 준비하고 있는 온양이다. 논의되고 있는 도시계획의 밑그림만 봐도 온산선이 초래할 부작용은 크다. 그렇기에 물류수송 전용 철도노선으로서 그 기능을 다한 온선선은 폐지되어야 마땅하다.
온산선 폐지를 위해서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제5차 국가 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에 반영시켜야 한다. 하지만 해당 계획의 발표 시기가 예정보다 2년(2024년) 정도 앞당겨졌고, 관련 연구용역도 이달 중 착수되기에 대응 시간도 촉박해졌다.
지역 주민들이 한 마음, 한 뜻으로 온산선 폐지를 염원하고 있는 만큼 제5차 국가 철도망 구축계획에 온산선 폐지안이 반영될 수 있도록 울주군과 울산시의 적극적인 행정 대응과 울산시민들의 관심을 당부드린다.
김상용 울주군의회 행정복지위원장
※외부원고는 본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