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당면 현안은]울산 부지 없어 글로벌기업 놓칠판

2023-07-18     이춘봉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통과에 따라 김두겸 울산시장은 그동안 견지하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에 대한 ‘시기 상조론’을 철회하고 이제부터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해상풍력으로 생산한 전력이 지역 경제에 큰 도움이 되는 만큼 본격적으로 사업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민간사업자들이 밟고 있는 행정 절차가 순항하면 2025년께 착공할 가능성이 대두되는데, 지금부터 울산시 차원에서 지원해야 할 사안이 어떤 것이 있는지 두 차례 기획을 통해 살펴본다.

◇광활한 해안 인접 부지 필요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은 특성상 해안에 인접한 넓은 부지가 필수적이다. 바다에서 떨어진 곳에 부지를 마련할 경우 발전기를 해상까지 옮기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발전기를 고정하는 삼각형의 부유체는 한 변의 길이가 70m 수준이며 발전기의 날개에 해당하는 블레이드는 길이가 100m에 달한다.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기를 제작하려면 발전기 구조물을 보관하는 야적장과 조립 공간인 야드, 구조물을 최종 조립해 바다에 띄우는 안벽 등이 필요하다.

업계에서는 최소한 100만㎡, 민간사업자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제작에 들어가면 최대 300만㎡의 부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문제는 민간사업자의 입맛에 맞는 부지를 확보하는 게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울산의 해안은 상당 부분 개발이 완료돼 공장 등이 들어서 있어 새로운 부지를 찾는 게 쉽지 않다.

개발 부지 가운데 활용 가능성이 있는 현대중공업 조선해양 플랜트 사업장 부지는 수주 증가에 따른 물량 확보로 2025년까지는 전용이 불가능하다.



◇확보 부지는 74만㎡ 남짓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위한 부지 문제는 해상풍력 관련 기업인 베스타스의 유치 과정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해상풍력 발전의 필수품인 풍력터빈 세계 1위 회사인 베스타스는 울산 앞바다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추진 중인 CIP는 물론 고정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추진하는 전남 등에 부품을 공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베스타스는 한국 현지 공장 조성을 놓고 울산과 전남 목포를 저울질 중이다. 지난달 김영록 전남지사가 취임 1주년 회견을 통해 베스타스 한국 공장을 목포에 유치했다고 밝혔지만 아직 확정 단계는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목포는 부지 가격 측면서 유리한 고지를 확보한 것으로 파악된다.

베스타스는 울산시에 직접 문의하지는 않았지만, 시는 기업 유치 차원에서 가용 부지를 추천했다. 베스타스가 타 지역에 공장을 건립할 경우 막대한 수송비가 발생해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경쟁력에 악영향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시가 추천한 부지는 2곳이다. 우선 온산국가산단 내 육지부 62만3542㎡는 임대할 경우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이 부지는 공시지가가 ㎡당 32만6000원선이다. 또 다른 부지는 세진중공업 소유 강양우봉지구다. 면적은 11만6520㎡로 역시 즉시 사용이 가능하며, 가격은 ㎡당 32만2000원이다.

이는 현재 시가 부유식 해상풍력 민간사업자나 부품 사업자에 제공할 수 있는 부지의 총량으로 볼 수 있다. 민간사업자들이 필요로 하는 부지가 100만㎡인데 부품 업체인 베스타스가 10만㎡ 이상의 부지를 갖고 갈 경우 공급 가능 부지는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에 일각에서는 매립 필요성까지 제기되는 실정이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