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트램 1호선 최소수준 경제성 확보…정책성 높이기 총력

2023-07-24     이춘봉
울산도시철도(트램) 1호선 사업에 대한 경제성이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준으로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수소를 동력으로 하는 울산트램의 친환경성을 최대한 부각시켜 정책적 타당성을 확보해 오는 8월 중에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한다는 방침인데, 지역 정치권의 지원사격이 필요할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1일 울산트램 1호선 타당성 재조사 2차 중간 점검회의를 열고 그동안 조사한 경제성 분석치를 제시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울산시 관계자들은 정확한 경제성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할 수 있는 최소 수준은 확보했다고 입을 모았다.

앞서 지난해 8월 열린 1차 중간 점검회의 당시 확인된 경제성은 0.74로 기준치인 1을 밑돌았다. 2차 중간 점검회의를 거치면서 경제성은 다소 제고됐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충족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가 그나마 경제성 수치를 높인 것은 1차 중간 점검회의 이후 트램의 구동 방식을 전기 배터리 방식에서 수소전지 방식으로 전환한 게 큰 도움이 된 것으로 파악된다.

전기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충전 시간이 30분 수준인 반면 수소전지는 10분에 불과하다. 또 전기 배터리는 운행 거리가 30㎞에 불과하지만 수소전지는 200㎞에 달한다. 수소를 동력원으로 변경하면서 충전 시간에 대체 투입할 차량 대수가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생겨 경제성 향상 효과가 발생한다.

차량 구동 방식 변경으로 차량 기지를 남구 무거동 일원에서, 수소 인프라가 구축됐고 부지도 확보된 태화강역 인근으로 이전할 수 있어 사업비를 추가로 줄일 수 있다는 점도 도움이 됐다.

시는 국내 트램에 수소 구동 방식을 도입하는 사례가 처음이다 보니 충분한 검증 시간이 필요해 1차 중간 점검회의와 2차 중간 점검회의 사이의 기간이 길어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울산이 수소트램의 선도 주자로 나선 가운데 제주 등 후발 지자체들이 잇따라 수소트램을 채택하는 만큼 타시도 사업에 미치는 영향이 커 기획재정부가 경제성 분석에 신중을 기했다는 의미다.

시는 추가 보완 자료 제출 없이 경제성 평가를 완료하고 정책적 타당성 검증 수순으로 넘어간다는 계획이다.

시는 수소트램이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에도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부합한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해 정책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내기로 했다. 지난해 정부의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제2 명촌교 사업의 경우 경제성이 1을 밑돌았지만 정책적 타당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사업에 착수한 전례를 따른다는 전략이다.

다만 울산트램 1호선의 경제성이 제2 명촌교 사업의 경제성을 다소 밑도는 만큼 지역 정치권이 사업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정부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시는 조만간 기재부 분과회의를 통해 정책성 평가 절차를 완료하고 8월 중 열리는 기재부의 2023년 제3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타당성 재조사 통과를 확정 짓는다는 전략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경제성은 필요한 만큼은 나온 것 같아 타당성 재조사 절차에 속도를 내려고 한다”며 “울산의 교통 판도를 뒤바꿀 핵심 사업인 만큼 시민은 물론 지역 정치권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