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해수부 해양레저관광 거점 공모 탈락...동남권 또 제외…市 관광정책 타격
울산시가 해양수산부에서 실시한 2023 해양레저관광 거점 공모 사업에서 탈락했다. 이에 시가 추진하던 해양관광 정책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4일 시와 해수부 등에 따르면, 해수부가 실시한 이번 공모에 울산 동구, 경북 경주, 경남 창원, 충남 보령이 각각 지원해 경합을 벌였고 결국 경주, 보령이 선정됐다.
해수부는 지난 2019년 관계 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에 따라 전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권역별로 거점을 조성했다.
이미 수도권인 경기 시흥을 비롯해 서해안권 전북 군산, 다도해권 전남 보성, 제주권 제주 서귀포, 동해안권 강원 고성 등 5개 권역은 거점으로 선정돼 사업이 진행 중이다.
시는 ‘왕의 휴양지, 해양레저관광의 중심 일산’이라는 주제로 동구 일산해수욕장 일대에 일산워터하우스, 해양레저플랫폼, U자형 순환 데크로드, 어풍대 스카이워크 등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시는 이번 공모에서 전국 7개 해양레저관광 권역 중 동남권인 울산·부산과 한려수도권인 경남만 미선정됐다는 점을 해수부에 적극적으로 어필했다. 동구는 대왕암공원, 출렁다리, 어풍대 등 다양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해상 케이블카·집라인 조성 등 기존 자원과 연계한 개발 잠재력이 높다는 점도 부각했다. 이에 올해부터 오는 2026년까지 국비 249억원, 시비 124억5000만원, 구비 124억5000만원 등 총 498억원을 투입할 예정이었으나, 해수부 공모에서 탈락하며 자칫 시의 해양관광 정책에 차질이 우려된다.
기존에 선정된 고성에 이어 경주, 군산에 이어 보령이 선정되며 동·서해안권에서만 2곳이 대상지로 선정되는 등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해수부가 전국 해안을 연결하는 관광벨트를 조성하겠다면서 동남권역과 한려수도권을 제외한 건 납득이 안된다는 지역 내 목소리도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최선을 다해 준비했지만 해수부의 생각은 달랐던 것 같다”며 “내년에 해수부에서 공모사업을 다시 진행한다면 재도전하겠다”고 밝혔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