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이차전지 특화단지 안착 위한 과제는]기업유치 위한 부지확보 급선무

2023-07-26     이춘봉
정부가 지난주 울산과 경북 포항, 충북 청주, 전북 새만금 등을 국가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선정했다. 당초 5개 신청 지역 가운데 최대 2개 가량의 지자체가 선정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무려 4개에 달하는 지자체가 특화단지 타이틀을 얻었다. 선정된 지자체들은 모두 이차전지 산업을 차세대 먹거리로 삼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어 향후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본보는 두 차례 기획을 통해 울산 이차전지 특화단지 안착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신설·확장 염두 가용 부지 확보

울산은 이미 각종 산단이 조성돼 있고 산단마다 이차전지 관련 업체들이 입주해 있다. 고려아연·LSMnM·대한유화 등 원소재 기업, STM·에스엠랩·후성 등 소재 기업, 삼성SDI·SM벡셀 등 제조 기업은 물론 완성품을 사용하는 현대자동차 등이 하이테크밸리 산단과 온산국가산단, 울산미포국가산단 등에 들어서 있다.

이차전지 산업 발전을 위한 A부터 Z까지 기반을 확보해 경쟁력이 높지만 보완할 점도 존재한다. 그 중 가장 시급한 것이 기업 유치를 위한 부지 마련이다.

현재 특화단지로 지정된 산단은 하이테크밸리산단 1~3단계, 이화산단, 온산국가산단, 울산미포국가산단, 반천일반산단, 울산테크노산단 등 6곳으로, 총 면적은 74.35㎢에 달한다. 언뜻 다량의 부지를 확보한 것 같지만 이미 사용 중인 부지가 상당해 실제 가용할 수 있는 부지는 넉넉한 편이 아니다. 특히 기존 기업이 추가 투자에 나서가나 신규 투자를 유치할 경우 부지 문제는 현안으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삼성SDI 인근에 위치한 하이테크밸리산단 2~3단계 부지의 개발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67만㎡ 규모의 하이테크밸리산단 2단계 부지는 지난 5월 공사에 들어갔다. 울산시가 2088억원을 투입해 2026년 4월 완공할 계획이다. 반면 110만㎡에 달하는 3단계 부지의 개발 계획은 수면 아래에 머물고 있다.

울주군 서생면 에너지융합산단 등 활용이 가능한 부지를 특화단지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다.



◇기업 투자계획 실행 위한 대비

시는 특화단지 선정을 위해 11조원대에 달하는 투자 계획을 확보했다.

국내 최초로 차세대 전고체 전지 파일럿 라인을 구축한 삼성SDI는 일단 5634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 가운데 양극소재(NCA) 생산 라인 신설에 필요한 534억원은 투자를 완료했고, 추후 NCA 공장 신설과 양산 라인 증설에 5100억원을 더 투자할 예정이다.

1조원대에 달하는 투자를 계획 중인 에스엠랩 역시 650억원의 투자를 완료했고, 향후 9642억원의 투자를 진행하는 등 기업들의 투자가 잇따를 전망이다.

기업들의 투자가 계획에 그치지 않고 실제 투자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시 차원의 차질 없는 지원이 필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안으로 범부처 협의체를 구성해 특화단지 육성 계획을 수립한다. 시 역시 울산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추진단을 구성한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해소해 원활한 투자가 이어지도록 산업부 협의체와 시 추진단 등에 기업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산단 인프라 유지관리 국비지원도

울산 이차전지 특화단지의 거점 산단인 울산·미포국가산단과 온산국가산단은 조성 이후 무려 50~60년이 지났다. 이에 노후화로 환경 오염은 물론 대형 사고 발생 위험에 시달리고 있다.

시는 산단 경쟁력 분석 결과, 울산미포·온산 국가산단은 모두 ‘정체단지’로 판단돼 ‘성장단지’로의 변화를 모색할 시점이라는 입장이다. 정체단지에서 성장단지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확충이 필수다.

문제는 산단 기반 시설 유지·관리 및 시설 확충을 위해 연간 약 800억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이 가운데 절반은 시가 부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시는 해당 비용 부담에 한계를 느끼고 있어 국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된 울산 국가산단 입주업체들이 납부하는 세금의 일부를 산업단지 기반 시설 유지관리 비용으로 전환한다면 산단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