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사송신도시 사송IC 설치 법적 근거 마련하고도 지지부진
경남 양산시 동면 사송신도시 내 사송IC 건설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도 장기간 답보상태로 입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31일 양산시와 사송신도시발전추진협의회(이하 사추협) 등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사송신도시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개선위원회로부터 광역교통개선 집중관리지구로 지정됨에 따라 사송IC를 건설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사송신도시 사업 시행자인 LH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법정사업이 아닌데다 당초 사업 계획에도 없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사송IC 건설에 부정적이었다.
하지만 사송신도시가 광역교통개선지구로 지정되면서 사송IC 건설 요구가 거세지자 LH는 뒤늦게 국토교통부와 양산시 등 관련 기관과 사송IC 건설과 관련한 사업비 분담과 위치 선정 등 세부 사항 검토에 들어가는 등 실무작업에 착수했다.
이후 입주민들이 당초 계획한 부산 방향 외에 서울 방향까지 포함한 양방향 통행을 요구하고 나서자 문제가 복잡해졌다.
입주민들은 부산 방향으로의 단선 설치로는 IC 개설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양산시도 입주민 입장을 고려해 양방향 설치에 무게를 두고 있다.
반면 LH는 양방향으로 건설할 경우 사업비가 크게 증가하는데다 절차도 복잡해진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처럼 양측 입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사송신도시가 광역교통개선지구로 지정된 지 9개월이 지나도록 아직 타당성 조사 용역에도 들어가지 못하는 등 지지부진한 상태다.
입주민들은 오는 12월까지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내년 4월 총선 전 관련 기관 간 사업비 분담 비율이 확정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는 2026년 사송신도시 전체 준공일 전에 사송IC를 준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추협은 이달 초 양산시와 LH 등 관련 기관을 방문해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등 단체행동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김갑성기자 gskim@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