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기업 10곳 중 8곳 하반기 경기전망 암울
2023-08-01 이형중
31일 울산상공회의소가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하반기 경제전망 조사’를 시행한 결과, 상반기와 비교해 82.5%(‘비슷할 것’ 39.5%, ‘다소 악화될 것’ 36%, ‘매우 악화될 것’ 7%)가 정부가 예상하는 ‘상저하고’의 흐름과는 달리 상반기와 비슷하거나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다소 호전될 것’으로 전망한 기업은 17.4%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한국 경제성장 전망을 묻는 질문엔 55%가 ‘1.0~1.5%’를, 27%가 ‘0~1.0%’, 15%가 ‘1.5~2.0%’를 예상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반기 물가 상승 추이 전망에 대해선 ‘조금 오를 것’(51%), ‘현재와 비슷할 것’(29%) 순으로 소폭 상승을 예상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현재와 비슷할 것’(36%), ‘조금 오를 것’(33.7%), ‘조금 하락할 것’(23.3%) 순으로 비슷하거나 소폭 상승을 예측하는 비중이 조금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국내 기준 금리 전망으로는 ‘3.5%’(34.9%), ‘3.75%’(30.2%), ‘3.25%’(15.1%)로 조사됐다.
하반기 미국 기준 금리 전망에 대해선 ‘5.25%’(36%), ‘5.5%’(27.9%), ‘5.0%’(17.4%)로 나타나 국내와 미국 기준 금리 모두 동결 혹은 베이비스텝을 예상하는 비중이 주를 이뤘다. 조사 기간 내 미 기준 금리는 5.25%다.
한국 경제의 주요 대내외 리스크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내수시장 침체’(21.5%), ‘금리 인상 기조’(20.4%), ‘미·중 갈등 등 보호무역주의 심화’(18.8%), ‘환율·원자재가 변동성’(18.3%)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현 상황에서 정책당국이 우선 추진해야 할 경제정책(중복응답)에 대해선 ‘금리 인하를 통한 대출이자 부담 완화 및 기업 투자 확대’(26.4%), ‘규제 완화 등 기업 친화적 경영 환경 조성’(23.9%), ‘글로벌 공급망 차질 해소 등 국제 관계 대응’(12.2%), ‘교육·연금·노동 개혁을 통한 장기 저성장 국면 타파’(9.6%) 순으로 조사됐다.
울산상의 관계자는 “정부가 예상하는 상저하고의 흐름과는 달리 지역기업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전망은 그리 밝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기대보다 저조한 중국 리오프닝 효과와 글로벌 경기둔화를 주요 요인으로 꼽을 수가 있다”고 밝혔다. 또 “내수시장 침체, 금리 인상 기조, 환율 변동성,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만연한 상황에서 쉽사리 하반기 반등을 점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