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2조원대로 몸집 커진 ‘울산 동해가스전 CCS’사업...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방법론 고심
온실가스 감축의 새 지평을 열게 될 울산 동해가스전 활용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이하 동해가스전 CCS) 중규모 실증 인프라 구축 사업의 사업비가 2조원대로 껑충 뛰었다.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강화 기조에 따라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 선정이 유력한 가운데, 정부 부처들이 예비 타당성 조사에 대한 방법론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3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동해가스전 CCS 사업 공모에 선정돼 예비 타당성 조사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
동해가스전 CCS 사업은 채굴 완료에 따라 비어 있는 동해가스전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사업이다.
시는 당초 연간 40만t씩 30년간 총 12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정부가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변경하면서 동해가스전 CCS 사업의 규모가 커졌다.
연간 100만t으로 이산화탄소 주입 용량이 확대됐다가 최종적으로는 120만t까지 늘어났다. 사업비도 1조원 미만에서 1조원 이상으로, 현재는 2조4000억원까지 불어난 상태다.
동해가스전 CCS 사업은 탄소 주입 관련 R&D 분야와 인프라 확보 분야 등 두 갈래로 나눠 진행된다. 사업비는 각각 8000억원과 1조6000억원 수준이다. 전체 사업비 중에서 국비와 민간 투자의 비중은 5대5 수준이다.
사업은 순탄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산업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 선정을 신청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문제가 발생했다.
산업부는 동해가스전 CCS 사업이 탄소 포집부터 저장을 아우르는 기술력 확보가 핵심인 만큼 R&D 사업으로 분류, 과기부가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하고 조사까지 진행하자는 입장이다.
반면 과기부는 사업비 측면에서 인프라 구축이 월등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기획재정부의 재정 사업으로 가는 게 맞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두 부처가 모두 동해가스전 CCS 사업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관할을 놓고 이견을 보이는 것이다.
산업부와 과기부는 지난달 28일 총괄위원회를 열고 동해가스전 CCS 사업을 R&D와 인프라 구축으로 분리해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선정을 신청하는 방안과, R&D와 인프라 구축을 합쳐서 기재부에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선정을 신청하는 두 가지 방안을 도출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업의 필요성은 부처들이 모두 공감하지만 예비 타당성 조사 수행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며 “4일 울산시와 부산시, 과기부 등과 협의해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선정 신청 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