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계 “개딸 영향력 강화·공천학살” 반발

2023-08-10     김두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회’의 최종 혁신안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당내에 일촉즉발의 전운이 감돌고 있는 것으로 9일 알려졌다.

민주당 안팎에 따르면 10일 발표될 혁신안에 그간 화약고로 여겨졌던 대의원제도 수정안과 총선 공천룰 변경안이 각각 담길 것으로 관측되자 당은 사실상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로 쪼개져 충돌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이에 내년 4월 22대 총선을 8개월 앞두고 당의 전면적 쇄신을 앞세워 출범한 혁신위가 되레 고질적 계파 갈등만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당장 비명계는 혁신위가 ‘대의원제 수정·공천룰 변경’을 예고한 것을 두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우선 대의원제를 손보려는 것은 향후 전당대회 때 이재명 대표의 강성 지지층인 ‘개딸’(개혁의딸) 권리당원의 입김을 강화해 친명계의 당내 헤게모니를 강화하려는 의도라고 본다.

아울러 이미 확정된 공천룰 변경 시도는 비명계에 공천 불이익을 주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의심한다.

비명계 중진 이원욱 의원은 9일 “혁신위가 ‘이재명 체제 1년’에 대한 평가는 없이 대의원제와 공천룰을 건드리려 한다. 자기들끼리 모여 쑥덕쑥덕하면서 그냥 ‘감’으로 해보겠다는 것 자체가 방향을 완전히 잘못 잡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친명계 핵심인 김영진 의원은 라디오에서 “대의원제를 두고 갑론을박이 있지만 제도 변화에 대한 시각은 다양하다. 찬반이 아닌 합리적 조정을 원하는 제3의 의견도 있는 만큼 잘 조정해서 내면 된다”고 주장했다.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도 혁신안은 도마 위에 올랐다.

친명계인 서은숙 최고위원은 “당의 주인인 당원이 대의원의 60분의 1표를 가지는 것은 옳지 않다. 지역위원장과 국회의원이 관여해 임명하는 1만6000명 대의원보다 130만명 권리당원이 더 국민과 가까이 있다”며 대의원제 수정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간 당내에선 전당대회에서 대의원이 행사하는 1표가 권리당원 60표에 해당해 표 등가성이 ‘당원 민주주의’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반면 박홍배 전국노동위원장은 “민주당과 한국노총의 항구적인 정책연대는 대의원제와 노동 권리당원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대의원제가 폐지될 경우 한국노총과의 정책연대 파괴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지도부는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

혁신안 발표를 하루 앞두고 당이 계파전 재점화 양상으로 치닫자 혁신위도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