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쇠부리기술 ‘2024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사업’ 선정

2023-08-14     전상헌 기자
국내 유일의 전통제철기술인 울산쇠부리기술이 문화재청의 ‘2024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에 선정됐다.

울산 북구는 울산 지역의 특징적 제철기술인 울산쇠부리기술 복원이 ‘2024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에 선정돼 국비 8500만원·시비 4250만원·구비 4250만원 등 총 1억7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울산쇠부리기술의 복원과 전승 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문화재청의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은 지역의 비지정 무형유산을 선정해 대표 문화자원으로 지원·육성하는 사업이다. 사업별로 조사·연구, 전승 환경 조성 및 체계화 등 자율적인 전승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연간 최대 2억원을 지원한다. 또 사업 성과가 좋으면 3년 동안 전승 환경 조성과 전승 체계화에 대한 지원을 이어간다.

북구는 이번 사업 선정으로 내년에 울산쇠부리기술 복원실험과 함께 울산쇠부리기술 자료집성 및 목록화, 울산쇠부리 학술대회를 추진할 계획이다.

북구문화원 산하 울산쇠부리복원사업단은 조선 후기 구충당 이의립에 의해 개발된 ‘토철 제련기술’을 복원하기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울산쇠부리기술 복원연구를 진행, 올해까지 9번의 복원실험을 진행한 바 있다. 1·2차 실험은 울산의 고대 괴련철 생산기술을 복원하기 위한 단계였고, 3·4차는 조선 후기 토철 제련기술 복원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예비 실험으로 진행됐다. 2019년 제5차 실험을 기점으로 본격 연구에 돌입, 울산쇠부리가마에서 쇳물을 뽑아내 선철 판장쇠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실험마다 2~4차례 안정적으로 쇳물을 생산하고 있다.

이번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 선정으로 내년에는 실험과 함께 울산쇠부리기술의 표준화를 통해 조업매뉴얼을 확립하고, 전문가를 중심으로 자문단을 구성, 울산쇠부리 관련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연구자료를 더욱 체계적으로 목록화할 계획이다. 또 복원실험 성과 등을 공유하는 울산쇠부리 학술대회도 추진한다.

울산쇠부리기술은 울산 지역만의 특징적 제철기술로, 특히 조선 후기 달천광산의 특산품인 토철을 쇠부리가마에서 제련해 판장쇠를 생산하고, 이를 소재로 무쇠솥과 각종 철기를 제작하던 우리나라 최대의 전통 제철기술이다.

북구 관계자는 “민·관·학 협의체를 통해 울산쇠부리기술이 복원, 전승되고 있는데, 이번 문화재청의 사업 선정으로 문헌·고고학·금속공학 등 융합연구를 통한 울산쇠부리기술 규명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울산쇠부리기술의 전승 체계가 구축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상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