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 시각]공조(共助)와 협치
최근 울산 정가에 자주 오르내리는 단어가 ‘공조(共助)’와 ‘협치’다. ‘공조 (共助)’. 여러사람이 함께 도와주거나 서로 도와줌을 뜻하는 의미다.
울산시는 며칠전 ‘국비 확보 위해 지역정치권과 ‘공조’’라는 타이틀의 자료를 배포했다. 그것도 ‘역대 최대 영향력 지닌 지역 국회의원 협조’라는 소제목을 달아서 공조의 의미를 더했다.
시는 내년도 주요사업 국비 확보를 위해 지역정치권과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공조체제’ 구축에 나서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출했다. 경제부시장이 직접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 사무실을 찾아 내년도 주요 국비사업의 예산반영을 적극 건의했다. 시의 행보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집권여당 전략기획부총장인 울산중구 박성민 국회의원, 이채익 시당위원장을 직접 찾아 국비확보에 ‘SOS’를 보냈다. 정부의 재정 긴축 기조에 따라 전국 지자체에서 국비예산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는 상황인 만큼 지역 정치권과 공조체제를 구축해 최대한의 국비를 확보해 나가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이번 국비는 수소건설·산업기계 평가 인터넷체제기반 구축, 화학적 재활용(해중합) 성능 테스트베드 구축, 울산 국가산단 지하배관 현장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등 미래 도시경쟁력 강화와 직결되는 사업이 대부분이다.
비슷한 시기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은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시와 김두겸 시장에게 ‘국비 4조원 시대를 열기 위한 여야 예산정책협의회 개최’를 정식 요청했다. 이들은 “지금 울산이 놓인 모든 상황을 볼때 정당·이념 간 대립, 홀로 치적 쌓기에 매몰되어 있을 시간적 여유가 없다”며 내년 국비 확보에 거대야당의 지원이 꼭 필요한 만큼 전폭적인 협조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울산 발전을 위한 파트너’ ‘협치’ ‘여야 소통’ 문구가 곁들여 졌다.
현재 울산은 위기 경고음이 켜진 상태다. 도시 경쟁력의 바로미터인 인구는 갈수록 줄고, 산업재편 대비 등 현안이 산적해 있다. 경제, 사회, 문화 모든 분야에서 성장은 요원하고, 정체와 후퇴 국면이다.
정치가 희망의 키워드를 제시해야 한다. 그 첫 단추가 여야간 협력이라는 점에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정치권 공조와 협치에 형식과 절차는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 어느때보다 중앙 정치권에서 입김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울산 국민의힘은 집권여당에 걸맞는 정치력을 발휘하면 된다. 시정부는 국비확보에 여당은 물론 야당과의 채널도 확대·가동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반대만을 위한 반대’가 아닌 그들이 언급한 것 처럼 울산 정치권의 한 축을 대변하고 있는 야당으로 역할을 하면 된다.
내년 4월 22대 총선이 바짝 다가오면서 정당간 경쟁, 갈등국면은 더욱 두드러질 게 뻔하다. 분명, 어느 한쪽이 이기는 한판승은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여야간의 갈등 해소 돌파구는 결국 지역발전이란 공통분모를 통한 공조와 협치뿐이다. 이제 지역 여야 정치권이 불협화음 대신 진정한 의미의 ‘공조’와 ‘협치’를 시민들에게 보여줄 때다.
이형중 정경부 부장대우 leehj@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