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률적 태풍 ‘재난문자 폭탄’에 피로감

2023-08-14     강민형 기자

중앙정부에서 일률적으로 발송되는 태풍 재난안내문자가 지역 여건에 맞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안전 안내 문자 발송처만 7곳에 달하는데다 전·현직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도 가세해 시민들이 ‘문자 폭탄’에 따른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제6호 태풍 ‘카눈’ 관련 지난 9~10일 안전 안내문자가 30통 가량 발송됐다.

지난 9일 남구지역 기준 안전 안내 문자는 11통, 태풍이 상륙한 지난 10일은 16통이다.

발송 주체가 울산시, 산림청,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한국도로·철도공사, 행정안전부, 낙동강홍수통제소 등 모두 7곳에 달했다.

중대본에서는 ‘침수·산사태 위험 지역에서는 기상 상황 수시 확인, 위험 징후 보이면 즉시 대피’, 산림청에서는 ‘산사태 발생 우려, 산림 인근 접근 자제, 대피명령 시 학교, 마을회관 등으로 대피’ 등 1~2시간에 1번 꼴로 문자를 발송했다.

하지만 발송된 문자가 태풍이 울산이 인접했던 오전 10시에 ‘북상 중’이라거나 지나간 뒤인 오후 6시께 ‘집중호우로 침수된 지하차도, 하천변 도로 등 차량 밀려 고립 위험’ 등 상황에 맞지 않는 문자도 발송되면서 오히려 혼란을 초래한다는 지적이다.

A씨는 “(중앙부처발) 문자의 내용이 모호한데다 안전 안내 문자가 너무 많이 와서 울산고속도로 언양분기점~울산요금소 구간 양방향 도로 통제 안내를 놓쳤다”며 “인근에 가서야 도로가 통제된 걸 보고 알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에 중앙부처 발신 문자는 지자체 상황에 맞게 변경되거나 발송 주체가 일원화되는 등의 대책 마련 필요성이 제기된다.

여기에 정치인들도 ‘태풍 안전 대비 공지 안내’, 태풍 비상연락망 안내, 태풍 정보 ‘블로그, 밴드’ 등 SNS 주소를 안내하는 문자폭탄에 일조하면서 시민들의 피로감을 더욱 높였다는 지적이다.

B씨는 “가뜩이나 정치 여론조사 전화 등으로 거부감이 높은데다 안전 관련 문자까지 무차별적으로 오니 눈살이 찌푸려진다”며 “여러 곳에서 같은 내용의 문자를 보내오는데 정작 필요한 내용은 잘 없다”고 말했다.

시는 “중앙은 전국 공통 사안의 내용을 한번에 보내다보니 발생한 일”이라며 “문자 발송 주체가 중앙, 시·도, 구·군 등 다양해 울산은 사안이 급하거나 중요한 것은 시에서 보내 안내 체계를 줄이려고 노력중”이라고 밝혔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