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이차전지, 울산의 미래먹거리 50년을 약속하다

2023-08-14     경상일보

미래사회는 BoT (Battery of Tings) 시대라는 말을 흔히들 한다. 모든 사물이 배터리로 연결되는 세상이라는 뜻이다. 스마트폰을 비롯해 로봇과 전기자동차, 드론, 에너지저장장치 (ESS) 등 모든 첨단 기기에는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들어가니 결코 틀린 말이 아니다.

최근 울산도 배터리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국가 첨단전략산업인 이차전지 특화단지 선정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울산이 치열한 경합 끝에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최종 낙점 되었다. 이는 윤석열 정부가 울산에 갖고 있는 기대를 엿볼 수 있음과 동시에 ‘새로 만드는 위대한 울산’이라는 기치로 산업수도 울산의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김두겸 울산시정을 비롯한 울산시민, 지역정치권이 함께 이뤄낸 쾌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울산은 인구 8만여명의 작은 농촌 도시였다. 그러던 중 1962년 박정희 대통령이 울산을 특정공업지구로 결정하여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중화학 공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시켰다. 대한민국 성장엔진으로 울산이 선택된 것이다. 이후 1997년 대한민국 산업수도로서의 가치와 공로를 인정받아 광역시로 승격됐다. 1998년 26조6630억원이었던 지역 내 총생산은 2021년 기준 77조6830억원으로 3배 증가했다. 울산시민이 함께 만들어낸 실로 눈부신 성장이자 놀라운 변화였다.

그러나 산업도시 울산에도 위기는 찾아왔다. 울산이 잘 사는 도시로 인식되며 국비 지원 등 지원에 있어 역차별을 받는 경우가 생겨났으며, 울산을 지탱해오던 자동차와 조선산업이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새로운 변혁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울산의 새로운 미래먹거리를 찾기 위한 움직임이 분주해 지고 있는 이유다.

그러던 중 산업부 공모사업이 ‘이차전지 국가전략첨단산업 특화단지 사업’ 지역으로 울산이 선정되었다. 이차전지 산업은 제2의 반도체라 불리며 2030년 전 세계 시장 규모가 200조원으로 예상 되고 있는 미래 핵심 산업이다.

울산시의 발표에 따르면, 이번 이차전지 특화산업으로 울산이 지정되며 2030년까지 약 11조원의 기업 투자가 확정된 상태이며 국비 3000억원을 포함해 총 5000억원을 투입해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22조7000억원의 생산, 6조3000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 해 낼 것으로 예상되며 고용유발 효과 역시 7만4000여명으로 기대된다고 한다. 울산의 새로운 50년을 준비해 나가기 위한 든든한 동반자를 얻게 되었다.

울산이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선정된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우선, 울산은 첨단 이차전지 소재부터 전지 제조, 완제품 공급까지 산업 전 주기에 걸친 밸류체인을 갖고 있으며, 기술개발과 인프라 구축에서도 압도적인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 울산의 주력산업이었던 자동차와 조선, 석유화학 기업들이 이미 이차전지 소재 생산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현대자동차는 이차전지 사용이 필수적인 전기차 공장을 울산에 건설 중에 있으며, 세계적 이차전지 생산기업인 삼성SDI의 생산공장도 울산에 있다.

뿐만 아니라 울산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기반 시설을 지원하고, 투자환경 개선과 기술개발 사업화 촉진 등 전방위적 지원에 나설 계획도 수립하며, 이차전지 세계 거점도시로 도약할 준비를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었다. 이번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울산이 선정 된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 특화단지 선정은 끝이 아닌 시작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울산의 미래 50년 동안의 새로운 미래먹거리를 만들어 나가는 만큼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은 반드시 성공리에 끝내야만 한다. 행정적 뒷받침은 물론 정치권의 적절한 지원이 잘 어우러져야 할 것이다.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 세심하게 접근하는 것도 필요하다. 필자 역시 주어진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

노적성해(露積成海). 티끌도 모이면 태산이고, 이슬이 모이면 바다도 될 수 있다. 울산발전을 위해 울산 전체가 마음과 힘을 모아 울산이 대한민국 산업수도를 넘어 세계적인 이차전지 산업수도로 거듭 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채익 국민의힘 울산시당위원장

※외부원고는 본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