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재건축·재개발사업 현주소는]울산전역 21곳 사업 추진…착공은 4곳 불과
2000년대 들어 부동산 경기 호황을 타고 활발하게 추진되다가 지역 주력산업 침체 등과 맞물려 장기간 표류 또는 중단됐던 울산지역 재건축·재개발사업이 다시 곳곳에서 재추진 되는 등 꿈틀대고 있다. 정비구역에서 해제됐거나, 해제 대상에 올랐던 사업구역들이 지난해부터 추진위를 정상화하고 정비구역 입안 재신청에 나서는 등 사업에 재시동을 걸고 있다. 본보는 울산지역 재건축·재개발사업의 현 주소와 실태, 바람직한 사업 추진 방안 등을 모색하는 기획물을 3차례에 걸쳐 연재한다.
◇울산 곳곳 사업 재개 움직임
중단되거나 지지부진했던 재건축·재개발사업이 곳곳에서 재개되거나 재추진 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중구 남외동 B-11 재개발사업 구역이다. B-11 구역은 2008년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되고 추진위 승인까지 받았으나 이후 사업 추진이 난항을 겪으며 표류했다. 2018년에 울산시 ‘정비예정구역 해제 용역’에 따라 해제 대상으로 지정되면서 좌초되는 듯 했으나, 지난해 추진위 승인을 다시 받으면서 15년만에 재추진 되고 있다.
B-11 추진위는 지난해 추진위 재승인 등 정상화 이후 토지 동의율 65%를 받아 이달 중으로 중구청에 정비구역 지정 신청 입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B-11 추진위 관계자는 “비슷한 시기에 사업이 진행된 B-04(북정·교동), B-05(번영로 센트리지)가 착공, 준공을 앞두고 있는 등 활기를 띠면서 토지주들 사이에 재추진 목소리가 높아져 사업을 재추진 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정비예정구역 해제 고시됐던 남구 신정동 B-04구역은 올 상반기 정비구역 지정 입안을 제출해 지난 6월 조건부 수용됐다. B-04 구역도 2006년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장기간 사업 미추진으로 해제 대상에 올랐다. 그러다 작년부터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입안 주민설명회를 잇따라 연데 이어 17년만인 올해 사실상 정비구역 지정을 승인받았다.
중구 유곡동 B-15 구역도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된지 3년만에 재지정 신청을 밟고 있다. B-15 구역은 10년간 개발행위가 없어 2020년 2월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됐다. 그러다 일대 재개발 추진과 주거환경 개선 욕구가 높아지면서 정비사업 추진위가 설립, 사전타당성 절차 등을 마치고 정비구역 재지정 절차를 밟고 있다.
남구 신정1동 B-01 구역도 2006년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장기간 표류하다가 지난해 입안제안서 제출 후 보완 절차 등을 밟고 있다.
울산 도시·주거환경 정비사업 현황(예정지 포함) | ||||
구분 | 주택재개발사업구역 | 주택재건축구역 | 주거환경개선구역 | 총계 |
울산 전체 | 13곳(135만200㎡) | 3곳(18만㎡) | 5곳(24만9000㎡) | 21곳(178만2000㎡) |
중구 | 4곳(66만5000㎡) | 없음 | 1곳(5만3000㎡) | 5곳(71만8000㎡) |
남구 | 7곳(56만5000㎡) | 2곳(14만3000㎡) | 1곳(1만4000㎡) | 10곳(72만3000㎡) |
동구 | 1곳(6만1000㎡) | 1곳(3만7000㎡) | 1곳(6만3000㎡) | 3곳(16만2000㎡) |
북구 | 1곳(6만㎡) | 없음 | 1곳(7만5000㎡) | 2곳(13만6000㎡) |
울주군 | 없음 | 없음 | 1곳(4만3000㎡) | 1곳(4만3000㎡) |
◇21곳 재건축·재개발사업 진행중
울산시에 따르면 올들어 현재까지 울산에서는 총 21곳에서 도시·주거환경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총 면적은 178만2000㎡(약 54만평)에 이른다. 울산에서는 2006년 이후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된 곳이 89곳이나 됐으나 68곳이 일몰해제(33곳), 자진해제(17곳), 직권해제(2곳), 준공(9곳) 등으로 해제돼 현재 21곳이 남아 추진중이다.
사업 유형별로는 주택재개발사업이 13곳, 주택재건축사업이 3곳, 주거환경개선사업이 5곳으로 재개발사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구·군별로는 남구 10곳과 중구 5곳, 동구 3곳, 북구 2곳, 울주군 1곳 등으로 남구와 중구에 주로 집중돼 있다.
하지만 이들 사업구역 중에서 재건축·재개발사업의 1차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곳은 12곳으로 절반에 그쳤고, 2차 관문인 조합설립 인가를 받은 곳은 7곳에 불과했다. 정비구역으로 지정되고 나서도 추진위 승인을 받지 못한 곳이 5곳이나 된다.
더욱이 사업시행 인가 이후 실제 공사에 들어간 곳도 4곳 뿐이며, 4곳 중에서도 2곳 정도만 공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구 B-05(복산동 460 일원) 재개발사업이 2007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16년만인 올 하반기 준공을 앞두고 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사업이 시작된 곳 중 첫 준공 사례다.
지자체 관계자는 “올 들어 곳곳에서 재건축·재개발사업이 다시 추진되고 있고 물밑에서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다만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될지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 뿐 아니라 가로주택정비사업(33곳)과 소규모재건축(5곳), 자율주택(1곳) 등 소규모 주택정비사업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차형석·정혜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