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분산에너지 보급, ESS 안전성 확보 선행돼야

2023-08-25     경상일보

내년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풍력·태양광 등 분산 에너지를 저장·공급하는 설비인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안전성 논란이 다시 점화되고 있다. 정부의 안전기준 강화 조치에도 불구, ESS의 화재 발생이 끊이질 않고 있다. 핵심설비인 ESS 안전성 논란을 잠재우지 못하면 분산에너지 보급도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배터리 열폭주 방지 기술 개발과 LFP 배터리 장착 ESS 개발·보급 등 ESS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보완 대책이 요구된다.

지난 23일 울산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ESS센터에서 발생한 화재가 15시간 20여 분 만에 가까스로 진화됐다. 소방당국은 불이 나자 관할 소방서 전 장비와 인력을 동원하는 대응 1단계를 발령해 진화를 벌였다. 대용량포방사시스템까지 화재 진화 작업에 투입했다.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시 초고온의 불길이 뿜어져 나오고 잘 꺼지지 않는 ESS 특성 탓에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ESS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전력이 가장 필요한 시기와 장소에 공급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을 말한다. 특히 풍력·태양광발전 등 분산에너지의 경우 전력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생산을 중단하는 ‘출력제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유일한 설비가 ESS다. 다만, 현존 리튬계 배터리를 사용하는 ESS는 ‘열폭주’에 의한 화재에 취약하다는 게 문제다. 열폭주 화재는 매우 격렬하고 화재 진압이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울산에서는 2022년 1월 SK에너지 울산공장 ESS에서, 2019년 1월에는 대성산업가스 ESS에서 화재가 나 배터리 설비를 태웠다. 최근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ESS 화재는 39건에 달한다. 올해 상반기에도 6건의 ESS 화재가 났는데, 전북 영광 신안 등 모두 태양광 발전 연계형 ESS 화재다. 발화 원인 파악도 어려워 상당수가 ‘미상’ 처리되고 있는게 ESS 화재 사고다.

정부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고 전력 수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2036년까지 45조원을 투입해 ESS 시장을 확대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제주 지역에 백업용 대형 ESS를 시범 도입한 뒤 전국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 확대 보급할 예정이다. ESS 안전성 문제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유치하려는 울산과 전북 부산 경북 등 지자체와 기업들에게 ‘기술적 난관’을 떠넘기는 부담스러운 악재다.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분산 에너지 활성화 자체도 어려울 수 있다. ESS 배터리 안전성 확보가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