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차주 1인당 가계부채 규모 1억원 육박

2023-08-30     석현주 기자
자료이미지

울산지역 차주 1인당 가계부채 규모가 1억원에 육박했다.

울산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LTI)은 226%로, 소득의 2배 이상의 부채를 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가계부채가 재차 증가하는 가운데 실물경기 회복 지연과 고금리 상황 지속 등이 겹치면 채무상환 부담 증대로 부실 위험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한국은행 제주본부 양재운 과장이 신용정보원 및 신용정보회사(NICE)를 통해 분기별로 수집한 가계부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울산지역 차주 1인당 가계부채 규모는 9500만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8900만원)을 웃도는 수준으로 1억원 돌파를 코앞에 두고 있다.

전국 시도 가운데 세종이 1억12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과 경기도 역시 1억600만원과 1억300만원으로 1억원이 넘었다. 이어 대구(9900만원), 제주·인천(각 9700만원), 부산(9600만원), 울산(9500만원) 등도 1억원에 육박했다. 전남(7400만원), 강원·전북(각 7500만원), 충북(7600만원), 경북(7800만원) 등 도지역은 1인당 가계부채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울산지역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LTI)을 살펴보면 1분기 말 기준 226%로 차주들은 소득의 2배 이상의 가계부채를 짊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도별로는 세종이 268%로 가장 높았고, 제주(258%), 대구·경기(각 254%), 인천(253%), 부산(250%), 서울(247%), 울산(226%), 광주(224%), 충남(218%) 등의 순이었다.

2019년 말과 비교해 지난 1분기 말 기준으로 울산의 1인당 가계부채는 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시도 가운데 대구와 인천이 18.4% 증가해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고, 부산(14.5%), 광주(10.8%), 서울(10.6%), 대전(10.3%) 등도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같은 전반적인 가계부채 증가세는 우선 2020~2021년 저금리 기조하에서 부동산 등 자산가격 상승 기대로 차입을 통한 투자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후 2021년 하반기부터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오른 데다, 금융당국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주춤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다시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기준금리 동결에 따른 대출금리 하락 기대 등으로 가계부채가 재차 증가세를 보이면서 당분간 1인당 가계부채 규모가 다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국내 경기둔화 및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차주의 원리금 상환부담 증대, 중국 부동산 위기 확산 등으로 가계부채 부실 우려가 증대되고 있어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 증가는 금융시장 안정을 저해하고 성장 잠재력을 약화시킬 수 있어 중앙은행의 관심 사항”이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총량이 늘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