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중구 함월구민운동장 인조잔디 노후화 지적

2023-08-31     강민형 기자
울산 중구 함월구민운동장 내 축구장 인조잔디가 내구연한을 넘겼음에도 전면 교체 등 별도 조치가 이뤄지지 않아 이용객 안전사고 등이 우려된다. 시설 노후화로 미관 저해는 물론 부상 우려도 높은 상황이지만 전면 개·보수 비용 부담 등으로 부분 조치 외에는 개선이 어려울 전망이다.

30일 중구 함월구민운동장. 농구장과 맞닿은 축구장 인조잔디는 한눈에 봐도 듬성듬성해 아래에 깔린 까만 고무 충진재가 여기저기로 튀어나와 있었다. 특히 골대 주변으로 인조잔디가 많이 벗겨지면서 골대 앞 잔디 일부는 아래 흙바닥까지 드러나있었다.

축구장 곳곳에서 비슷한 상황이 확인됐다. 부분적으로 인조잔디가 벗겨져 충진재가 드러나면서 바닥이 얼룩덜룩해 보이기도 했다.

함월구민운동장을 즐겨 찾는 박모씨는 “인조잔디가 많이 벗겨지면 운동하다 넘어지면서 화상을 입을 수 있다”며 “충진재만 올라와있는 부분을 잘못 디디거나 밟다가는 발목이 꺾이는 등 부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산책객들은 벗겨진 인조잔디가 미관을 저해한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충진재 대부분이 폐타이어를 사용하다보니 화학 물질에 의한 안전문제 우려도 제기됐다.

함월구민운동장은 지난 2011년 6월 준공된 뒤 부분 보수 외에는 별도의 인조잔디 교체가 이뤄지지 않았다. 인조잔디 내구연한이 평균 7년가량인 점을 고려하면 함월구민운동장은 수명을 한참 다한 셈이다.

함월구민운동장은 축구교실 등 체육 행사 등으로 꾸준히 이용되고 있어 시설 개·보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인조잔디 전면 교체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비가 약 10억원 투입돼야 하기 때문이다. 별도 대규모 개·보수에 책정된 예산도 없다.

중구 관계자는 “시설 노후화로 인조잔디 전면 교체가 필요하지만 예산 문제 등으로 쉽게 결정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각 부서 등과 협의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