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청년 채용정책 실효성 높여야

2023-09-05     오상민 기자

지난달 30일 울산 동구 전하체육센터에서 ‘2023년 찾아가는 울산 조선 채용박람회’가 열렸다.

일자리를 찾아 온 구직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으면서 박람회장 주변은 열기가 뜨거웠다.

이번 박람회에서 HD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협력업체에 342명이 면접을 진행해 124명 채용이 예정됐다. 유의미한 숫자다.

당장 지난 5월에 동구 라한호텔에서 열린 ‘제1회 조선업 구인구직 만남의 날’과 비교하면, 125명을 채용하기로 했으나 70여명이 방문하는 것에 그쳤다. 실제 채용도 단 11명에 불과했다. 방문객은 약 5배, 채용인원은 약 11배가 늘어난 셈이다.

많은 청년층이 조선업 박람회에 방문했다는 것은 유의미하지만, 좀더 많은 청년들이 채용의 문턱을 넘을 수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여전히 공존한다. 조선업 청년 육성을 위해 정부 부처나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타지에서 울산으로 온 취업자에게 정착 지원금이라던지, 취업 정착금 등의 지원금 정책을 쏟고 있다. 하지만 이런 금전적 지원에도 좀 처럼 청년 취업이 늘어나지 않고 있다.

한 구직자가 “좋은 기업에 취업하면, 지원금은 기회비용”이라고 했던 말이 기억에 남는다.

지원금이 다른 기업체들의 복리후생 등과 비교하면 유인책이 아닌 기회비용일 뿐, 비교 우위가 되는 옵션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정착에 대한 문제도 제기된다. 부족한 인력은 외국인으로 보충하고 있다. 외국인에 대한 관리는 해당 기업에 있어 대부분 해외 인력을 사내기숙사에 머물게 하고 있다. 몇몇 기업은 협력업체 신규 직원에 대해 정착 지원금을 주거나 1년동안 기숙사에 머물 수 있게 해준다. 1년차 이후로는 기숙사에서 순차적으로 퇴실해야 한다. 외국 인력으로 부족해진 기숙사에 즉시 나가게 돼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이다.

지원금·정착금 등 금액이 혹할만큼 크지 않다. 무엇보다도 대부분 1년 지원에 그치는 등 일회성으로, 2년차 이상부터는 어떤 혜택 등으로 고강도·저임금을 상쇄할 수 있을까.

정부나 지자체는 지원금을 주고 마는 것이 아닌 이들이 선호하는 것, 정착에는 어려움이 없는지, 채용되면 그 이듬해는 어떻게 지원책과 연계할 수 있을지 등 이들의 현실과 마주한 유인책과 지원책이 절실하다.

일자리 창출에다, 인구유입,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맞춤형 지원방안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오상민 사회부 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