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한미일, 아세안 전적 지지…공동번영 노력”
2023-09-07 김두수 기자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JCC)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정상회의 모두 발언에서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협력의 새 시대가 열렸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3국은 이를 위해 연례 한미일 인도·태평양 대화를 발족하고, 아세안과 태평양도서국의 해양안보 역량을 지원하는 한미일 해양안보 협력 프레임워크를 새롭게 출범시켰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우리 정부의 아세안 특화 정책인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을 언급, “이는 아세안 중심성과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에 대한 대한민국의 확고한 지지를 근간으로 한다”고 부연했다.
KASI는 윤 대통령이 지난해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공개한 것으로, 아세안과 호혜적인 실질적·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한국과 아세안을 넘어 인태 지역의 자유·평화·번영에 기여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안보 분야에서는 방산 협력 및 국방당국 협의 확대, 사이버안보·초국가범죄 대응 협력 강화, 퇴역함 양도 등을 통한 해양안보 협력 강화 등을 제시했다. 경제 분야에선 아세안 청년들의 인공지능(AI), 디지털 활용 역량 강화 및 AI 기반 서비스 공동 개발을 위한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사업’(2024~2028), 메콩강 유역 4개국(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베트남)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기여방안이 포함됐다. 이를 위해 윤 대통령은 디지털, 전기차, 배터리, 스마트시티 등 미래산업 분야에서 민간 투자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우리 정부가 필요한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약속했다.
글로벌 위기 대응을 위해선 한·아세안 메탄행동 파트너십‘(2023~2026)을 통한 아세안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 백신 생산, 치료제 개발 협력 등을 통해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 기여 등의 방침을 밝혔다.
정상회의에서는 ‘AOIP 협력에 관한 한·아세안 정상 공동성명’이 채택됐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공동성명에 나온 AOIP(ASEAN Outlook on the Indo-Pacific·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는 지난 2019년 인도네시아 주도로 채택된 지역 구상으로 아세안 중심성·포용성·개방성·투명성 등의 협력 원칙과 해양·경제·연계성·지속가능개발 등 4대 중점협력 분야를 명시하고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