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내홍 수면 아래로…李 체포안 처리 뇌관
2023-09-11 김두수 기자
특히, 쌍방울 그룹의 대북송금 혐의에 연루돼 지난 9일 수원지검에 출석한 이 대표가 11시간 만에 제3자 뇌물 혐의 피의자 조사를 마치고 귀가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전면적인 국정 쇄신과 내각 총사퇴 등을 요구하며 지난달 31일 시작된 이 대표의 단식은 10일로 11일째에 접어들었다.
주로 당 지도부와 친명 성향 의원들이 국회 본청 앞 단식 천막을 지키고 있지만, 설훈·홍영표·전해철 의원 등 비명계 발길도 이어졌다. 당 관계자는 이날 “사즉생의 각오로 하는 단식에 동정론이 커지면서 자연스레 당이 단합하는 것 같다”고 했다.
이 대표의 단식 이후 내홍이 잠잠해지면서 최근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 상승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핵심 지지층이 결집한 데다 중도층 지지세까지 더해졌다는 게 당의 분석이다.
이런 상승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야권에선 오는 21일 본회의에 이 대표 체포동의안이 보고되고,25일 본회의에서 표결이 이뤄질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계파 간 셈법이 엇갈리며 내분이 재연될 수 있다.
이 대표는 이미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때문에 그간 당내에서는 체포동의안 가결 전망에 무게가 실렸었다.
그러나 이 대표를 향한 동정론이 퍼지는 상황에서 최근 친명계를 중심으로 ‘정치 검찰로부터 이 대표를 지켜야 한다’며 부결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 친명계 의원은 “아무리 결백하다 해도 구속 여부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영장 심사를 받게 하는 게 옳은가”라고 반문했다.
반면 비명계는 가결을 당론으로 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자율 투표 끝에 부결된다면 이 대표의 단식이 결국 ‘방탄용’이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대표적 비명계인 조응천 의원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정당한 영장 청구가 아니라는 이유로 체포동의안을 부결시키면 영원한 방탄 지옥에 빠진다”고 지적했다.
양측이 거세게 충돌하면 파열음은 커지고 당 지지율 상승세도 꺾일 공산이 크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겠다는 입장은 변함이 없다. 체포동의안이 국회에 보고되고 나면 구체적인 대응을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민주당은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 대표에게 12일에 다시 출석할 것을 통보한 데 대해 “무도한 행태”라고 비판했다. 김두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