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이차전지특화단지 인프라 뒷짐
정부의 신규 첨단산업단지 조성 관련 공모에 울산시가 신청조차 하지 않아 논란이 된 가운데 이번에는 이차전지 특화단지 내 인프라 구축 예산을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인근 포항은 기반 시설 확충을 위한 국비를 미리 신청해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울산시는 기반시설 수요조사에서 부족한 점이 없다고 판단했고, 산업부의 특화단지 인프라 구축 지원계획 수립이 연말까지 이어지는 만큼 인프라 관련 예산을 추가 증액할 방침이라고 밝혔지만, 정작 기업들은 부지나 전력, 용수 등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13일 울산시에 따르면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과 관련해 내년 신규 국비 총 139억원을 확보했다.
확보한 국비는 기술개발(R&D) 110억원, 인력양성 17억원, 장비구축 15억원 등 주로 연구·개발 용도로 쓰여질 예산이다. 기반 시설 관련 국비 지원은 신청하지 않았다.
반면 포항시는 이차전지 특화단지가 조성될 영일만·블루밸리국가산단 용수설비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해 154억원의 국비를 확보한 상황이다. 여기에다 기업들의 투자 확대에 따른 대규모 전력수요를 적기에 공급하고 기업의 투자유치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포항 산업단지 전력공급 대응 TF단’도 구성했다.
이처럼 포항시가 국비를 확보하고 특구 내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울산 특화단지 내 이차전지 기업들의 불만도 고조되고 있다.
특히 울산지역 특구 가운데 하이테크밸리 일반산단은 산단 구축 당시 일반 제조업을 고려해 전력공급 계획을 세웠으나 전기 소모가 많은 이차전지 기업이 몰리면서 전력부족 문제가 도마에 오른 것이다.
실제로 양극재 생산 선도기업인 S업체는 현재 하이테크산단 1단계의 남은 부지에 공장 증설을 추진하고 있는데 전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업체 관계자는 “2400억원을 추가 투자해 공장 증설을 추진하고 있는데 전력이 부족해 한전에 문의한 결과 언양 변전소에도 전기가 충분하지 않아 반천 변전소까지 공급 선로를 새로 설치해야 하며, 비용 150억원을 업체가 부담해야 한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하지만 울산시는 “S업체가 요구하는 6만㎾의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반천 변전소까지 10㎞가량의 공급선로가 구축돼야 한다. 이는 수요자 부담 원칙에 따라 기업이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라면서 “특정 기업에게만 전력시설을 구축해주는 것은 특혜성 지원”이라고 밝혔다.
향후 추가로 이차전지 관련 기업이 대거 입주할 경우 수요가 크게 부족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시는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울산시는 이날 오후 관련 자료를 통해 “현재 특구 내 기반시설 규모는 특구 지정 이전의 기반 시설 수요를 반영한 것으로 신규투자 수요에 따른 추가 기반시설 확충을 위해 투자기업 대상 수요조사 및 확대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올해 연말까지 국회 예산 심의과정에서 (기반 시설 지원)사업비 169억원이 국비에 반영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하이테크산단 1·2단계의 추가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2단계에 신규 변전소를 설치(총 사업비 732억원)해 공급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이와 별도로 산업부 지원사업으로 온산산단에 용수관로시설 확충과 하이테크산단 1단계에 전력시설 확충(2만㎾)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