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치료 제때 못받아 사망’ 환자 증가
2023-09-25 석현주 기자
울산이 의료서비스의 시의성, 형평성, 품질 측면에서 소외되고 있어 수도권과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적극적으로 의료자원을 파악하고 응급의료 시스템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보건복지부의 ‘치료가능 사망률 현황’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울산의 인구 10만명당 치료가능 사망자는 43.14명으로, 전년도(39.79명)보다 오히려 높아졌다. 2017년(43.46명) 수준으로 회귀한 것이다.
치료 가능 사망률은 의료적 지식과 기술을 토대로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뤄졌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수 있는 조기 사망을 뜻한다.
특히 응급실을 방문한 중증응급환자들의 병원내 사망률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국립중앙의료원의 ‘2021년도 중증응급질환 응급실 내원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울산에서 발생한 응급환자 1만1402명 중 1087명이 병원 내에서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망률은 9.5%에 달했다.
이들 가운데 타기관으로 전원 간 환자는 2.1%에 불과했다. 지역 의료 기반 시설이 부족한데다, 중증응급의료 전달체계도 제대로 구축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울산지역내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는 울산대학교병원과 동강병원 등 단 두곳에 불과하다. 인구 100만명당 1.8개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응급의료기관(권역·전문·지역응급의료센터 및 지역응급의료기관)의 경우 100만명당 6.2개로 10년 전(7.1개)보다 오히려 줄었다.
여기에다 응급실 전담 전문의·간호사 수도 인구 10만명당 3.2명, 14.7명으로 전국 최저 수준에 그쳤다.
제주(6.9명), 광주(6.5명), 강원(6.0명) 등은 울산의 두배에 육박하는 응급실 전담 전문의를 보유하고 있으며, 울산은 경기(3.0명)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적은 응급실 전문의가 근무하는 지역으로 조사됐다.
응급실 전담 간호사 역시 전국 평균(인구 10만명당 15.4명)에 못 미쳤다.
이처럼 열악한 응급의료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지역내 응급실 이용 건수는 전국 평균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의료원 등 의료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인구 1000명당 지역 응급실 이용 비율이 울산은 178.6건으로 전국 평균(157.9건)을 웃돌았다.
이에 지역 의료계 관계자는 “공공의료원 설립을 경제성 위주로만 평가하는 바람에 지방을 역차별하고 있다. 더 이상 지역의 열악한 의료 현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면서 “지역 균형발전과 시민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울산의료원은 반드시 설립해 의료 공급 및 이용의 불균형 문제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