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2대 총선 선거구 조정…울산은 변동없다
2023-10-04 김두수 기자
21대 국회 지형이 국민의힘 5개 지역구와 더불어민주당 유일 현역 이상헌(북) 의원이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내년 총선결과는 정치권의 전략과 여론, 총선 후보군의 경쟁력에 따라 변수가 예상된다.
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에 따르면 전국 253개 선거구 중 인구가 늘어 지역 선거구별 상한 인구(27만1042명)를 초과한 선거구는 18개다.
공직선거법에 의하면 국회는 획정위가 마련한 선거구 획정안을 토대로 선거일 1년 전까지 국회의원 지역구를 확정해야 한다.
내년 총선의 법정 선거구 확정 기한은 지난 4월10일까지였다.
국회가 법으로 정한 선거구 획정 시한을 스스로 지키지 않은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획정위가 출범한 1996년 제15대 총선에선 선거일 75일 전(국회 의결일 기준)에야 선거구 획정이 확정됐고, 16대 65일 전, 17대 37일 전, 18대 47일 전, 19대 44일 전, 20대 42일 전, 21대 39일 전에 확정됐다.
올해 1월31일 기준 인구가 상한 인구보다 많은 선거구는 지역구를 나누는 ‘분구’ 대상이 된다.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이 1명 늘어나는 것이다. 현 상황에서 분구 가능성이 큰 지역구는 경기 하남이다. 하남 인구는 32만6496명으로 상한 인구수보다 5만5454명이 많다.
경기 화성도 분구 가능성이 있다. 갑·을·병 3곳으로 나뉜 화성 지역구 중 화성을과 화성병 인구가 각각 상한 인구수를 8만152명, 3만1136명 초과한다.
갑·을·병을 합쳐 화성 인구가 91만4500명에 이르는 만큼, 지역구를 하나 추가해 인구를 배분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인천 서구을도 상한 인구수를 5만2193명 웃돈다. 서구 인구가 총 59만2298명이므로 기존 갑·을에 지역구가 더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이외에 경기 파주갑, 수원무, 평택갑·을, 고양을·정, 시흥갑, 용인을·병, 서울 강동갑, 부산 동래, 충남 천안을, 전북 전주병, 경남 김해을이 상한 인구수 초과 지역구다.
인구가 하한 인구수(13만5521명) 아래로 내려가 지역구가 합쳐지는 ‘합구’ 대상으로 거론되는 지역도 있다.
부산 남구갑·을이 대표적이다. 남구갑 인구는 12만6976명, 남구을 인구는 12만9214명으로 모두 하한 인구수를 밑돈다. 두 지역구를 합쳐도 인구가 상한 인구수를 넘어서지는 않는다.
획정위는 서울 중·성동을에서 중구를 떼 종로·중구 지역구를 구성하는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서울 종로(14만1223명)와 중구(12만317명) 인구 감소로 두 곳을 합쳐도 상한 인구수를 넘지 않는다. 김두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