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 돌린 김기현, 총선정국 산넘어 산
2023-10-16 김두수 기자
◇김기현 대표 유지 여부 찬반격론 이날 의원총회에서 찬반 격론을 펼친 부분은 역시 김기현 대표의 대표직 유지 여부로 집중됐다고 당 관계자가 전했다.
김 대표의 대표직 유지에 방점을 찍은 의원들은 “강서구청장 재보선 하나만의 패배에 임명직 당직자들 전원이 사퇴한 마당에 대표직을 내려놓으라고 하는 건 지나치다”면서 “대표가 사태를 수습하고 새 당직자들을 조속히 임명해 총선 체제로 전환하는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의원들은 나아가 “다만, 당정 관계를 새롭게 조성해 용산 대통령실과의 일정 부분 균형을 맞추는 견제도 필요하다”고 지적한 뒤 “국정기조 변화 필요성도 있다”라고 주문했다.
반면 김 대표 사퇴를 주장한 의원들은 “이대로 가다간 내년 총선에서 수도권은 물론 충정권과 영남권에 이르기까지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면서 “당의 간판은 그대로 두고 임명직 당직자들만의 책임지는 모습으로 국민들의 눈높이를 맞출 순 없다”고 지적했다.
사퇴 요구 의원들은 또 “대통령의 잘못된 국정기조에도 아무런 의견조차 내지 못하는 당 대표로선 내년 총선에서 필패가 될 수밖에 없다”면서 “김 대표가 사퇴하고 총선 필승 인물을 간판으로 내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기현 대표의 향후 과제는
의총 결과에 일단 한숨을 돌린 김기현 대표로선 향후 넘어야 할 산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우선 내년 4월 22대 총선 체제와 관련, 공천심사 실무를 총괄하는 사무총장과 전략기획부총장, 여의도연구원장 등 새로 임명하는 핵심 당직자들에 대해선 계파에 관계없이 탕평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울 용산과의 ‘껄끄러운 대상’으로 지목된 당내 비주류들에 대해서도 과감하게 안고 가는 대범한 용인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국정기조와 관련, 10·11 서울 강서구청장 보선결과에 대한 민심을 여과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인 소통이 시급하다는 게 여권 내부의 중론이다.
여기다 총선 과반 확보를 위해선 공정·투명·객관성을 담보하는 공천관리위원회의 구성에도 박차를 가해 나가야 한다는 과제도 안고 있다. 울산을 비롯한 영남권에 대해선 ‘무조건 다선 불리’라는 인위적인 현역 물갈이 보다 합리적 기준을 통해 투명공천이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과의 선제적 협치도 빼놓을수 없다는 점에서, 윤 정부가 초당적으로 국정을 운영해 나갈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는 게 여권내 개혁 성향 의원들의 지적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