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르포]신복로터리 평면화 개통 이후 불만 폭주…체증 만성화 우려, “평소 10분이면 도착하는데 50분 걸려”
“평소 10분이면 도착하는데, 우회도로를 돌고 돌아 50분이나 걸려 출근했습니다.”
울산의 대표적 진·출입 관문인 남구 무거동 신복로터리가 평면교차로로 전환된 첫날 휴일임에도 큰 혼란이 빚어진 가운데(본보 10월16일자 6면), 평일인 16일에는 출근 시간뿐만 아니라 퇴근 시간까지 하루 종일 극심한 교통정체에 시달려 시민들의 불만이 폭주했다. 신호체계 조정과 우회로 개설 등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6일 오전 7시께 찾은 신복로터리. 울산대학교에서 북부순환도로 방면으로 진입하는 차들이 자기 차선을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했다. 1~2차선은 고속도로, 3~5차선은 북부순환도로 방향이지만 로터리 진입 직전이 되어서야 바닥 도색 문자로 해당 차선이 어느 방향인지 알 수 있었다. 특히 꼬리를 무는 차들이 로터리 내부에 갇혀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광경이 잇따라 목격됐다.
울산대, 북부순환도로, 삼호로, 옥동 등 신복로터리를 둘러싼 주요 도로 대부분이 길게는 수백미터 가량 정체가 반복되면서 운전자들의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나왔다.
시민 양모(40대·남구)씨는 “신복로터리 구조물을 철거하고 평면화한다는 것만 알았지, 이 정도로 미완공 상태에서 교통체증을 유발할지는 예상 못했다”며 “최소한 차선과 차선 방향 정도는 하루빨리 그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교통체증이 예상됨에 따라 교통경찰관 또한 신복로터리 각 진출입구에서 교통 정리하는데 여념이 없었다.
이날 신복로터리 평면화 전환 문제점을 확인한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고속도로로 진입하는 차들로 5차선이 심하게 정체돼 굴화주공아파트단지에서 나오는 차들이 대로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며 “우회전 차선을 늘리는 등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굴화주공아파트단지에서 북부순환도로로 진입하려면 평소 몇 배의 시간을 대기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인근 주민들은 삼호초·굴화초와 맞닿은 골목을 통해 우회하기도 해 등하교 시간 학생들의 안전 문제도 우려되고 있다.
교통문화시민연대 관계자는 “차선·표지판 등 홍보가 매우 부족하고, 완공 때까지 신복로터리 교통 유입량을 줄일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특히 고속도로로 진출하는 대형차들을 울밀로로 유도하는 등 우회로 개발 및 안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시는 현재 신복로터리 평면화 전환이 미완공 상태이며, 완공까지 한 달은 더 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신호등 등 신호 연동 체계를 미세 조정 중이며, 교통섬 조성 및 교통 시설물 설치가 완료되면 신복로터리와 관련된 모든 교통망을 조정해 최적의 신호주기를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어느 정도 예상된 교통체증이며, 물리적 한계로 인해 현재의 공법이 최선”이라고 해명한 뒤 “현 교통체계에 적응될 때까지 최소 한 달에서 세 달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오는 19일 이예로 완전 개통과 지난 4일 착공한 사곡천 좌회전 도로 개설이 완료되면 신복로터리로 유입되는 교통량이 줄어들어 교통체증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완공까지 지속될 교통 정체 및 시민들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공기 단축뿐만 아니라, 차선·신호등 등 신호 연동 체계 우선 조정, 우회로 홍보 및 개발, 꼬리물기 단속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