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내년 2월까지 AI·구제역 특별방역대책

2023-10-19     김갑성 기자
경남 양산시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FMD) 등 가축전염병 유입과 확산 차단을 위해 강도 높은 방역대책을 전개하고 나섰다.

18일 양산시에 따르면 시는 특별방역대책기간을 10월1일부터 내년 2월29일까지로 설정하고 방역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시는 올해 해외 야생조류에서 AI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지난달 말부터 국내로 이동하는 동아시아 지역 야생조류에서 H5N1형 고병원성 AI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중시하고 있다.

구제역도 중국 등 인접국가에서 연중 발생하고 있는 데다 국내에서도 지난 5월과 6월 충북지역 우제류 농가에서 4년만에 11건이 발생하는 등 두 질병 모두 추가 유입과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시는 2019년부터 운영 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재난안전대책본부와 병행해 AI·구제역 특별방역대책을 마련, 시행하는 한편 시 광역방제기 1대와 양산기장축협 소독차량 2대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축산농가 등에 대한 소독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시는 고병원성 AI 청정화 유지를 위해 야생조류 예찰과 농장 유입 차단, 가금농장 전담관 운영 등 방역관리, 정밀검사 주기 단축, 농장 출입제한과 소독 관련 행정명령 발령 등 수평전파 차단 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시는 또 연중 운영하는 거점과 관내 산란계 농가 15호 중 14호가 있는 상북면의 출입통제와 소독을 철저히 하고 있다. 통제초소 2곳(상북면 좌삼리, 신전리)과 공공 계란 환적장 1곳(하북면 답곡리)을 추가 운영할 예정이다.

ASF 방역은 가을철 집중 차단방역과 양돈농장의 강화된 방역시설에 대한 지도·점검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인적·물적 이동이 증가하는 설 연휴기간과 봄 대비 사전 방역, 개별 농장 미흡사항 보완과 방역수준 제고 등에 힘을 쏟는다는 계획이다.

양산시 관계자는 “가축전염병은 조기발견과 신속대응이 중요한 만큼 농가에서는 의심사례 확인 즉시 신고 등 방역시책에 적극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갑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