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범여권 연말 신당론 급부상…지역 정치권 총선 변수는

2023-10-23     김두수 기자
여권인 국민의힘 안팎에서 이른바 ‘친여권 신당창당론’이 여의도 정가를 서서히 달구고 있는 가운데 울산지역 여권의 총선지형에도 어떤 변수가 나타나게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내년 4월10일 예고된 22대 총선을 불과 5개월여, 공천정국을 3개월 남겨두고 있는 시점에 다양한 신당론의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범여권 신당창당론의 불씨는 = 대선주자급인 유승민 전 의원과 이준석 전 대표가 범여권 신당 창당론의 중심부에 있다. 두 사람의 공통점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작심 비판한다는 점이고, 보수의 정치적 색깔도 비슷하다는 것이다. 출신 지역 또한 같은 TK(대구경북)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의 친소·배타적 관계 역시 비숫하지만 각론에선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들이 뭉치면 정치적으로 파괴력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유 전의원은 최근 CBS 라디오에서 “떠나는 것, 신당을 한다는 것은 늘 열려 있는 선택지이고 최후의 수단”이라며 12월께 ‘결단’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최근 ‘이 전 대표가 나가면 당 지지율이 장기적으로 3~4% 오를 것’이라는 김민수 당 대변인의 발언에 대해 “즉각적으로 이준석을 제명해 지지율을 올리라”는 페이스북 글을 올렸다. 사실상 몸은 국민의 힘에 있지만, 마음은 신당에 있다는 성급한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지도부는 ‘비윤 신당’의 실현 가능성과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유 전 의원과 이 전 대표 모두 국민의힘이 취약한 중도·청년층에 일정한 고정 지지층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있는 만큼, 두 사람의 탈당이 내년 총선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부산 해운대 지역구를 떠나 서울 험지 출마를 선언한 하태경 의원은 “두 사람이 우리 당이 많이 당선되게 하는 힘은 부족할 수 있지만, 떨어뜨리게 하는 힘은 충분하다. 지지율을 2~3%는 가져갈 것”이라고 했다. 때문에 당내에는 총선을 앞두고 유 전 의원, 이 전 대표와 같은 ‘다른 목소리’도 끌어안아 지지 기반을 최대한 확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반면, 정권과 당에 대한 두 사람의 비판이 ‘위험 수위’에 이르러 내홍과 분열을 부추기고 있기에 오히려 이들이 떠나는 것이 당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상존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선 어떤 형태로든 친여권 신당 창당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매우 높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울산지역 범여권의 총선 변수는 = ‘범여권 신당창당’이 현실화 될 경우엔 현역 의원들은 상대적으로 공천에서 유리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현역 물갈이의 빈틈을 노리는 원외 도전자들은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도 있다. 특히 보수의 텃밭 인식이 강한 울산은 물론 동남권과 TK(대구경북)지역 현역 의원들의 인위적인 물갈이 추진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현역 ‘물갈이’는 곧바로 탈당 후 신당행 또는 신당과 연계한 무소속 출전이 러시를 이루면서 범여권의 분열을 자초할 것이라는 우려다.

여기다 신당에 의한 심리적 안정감, 즉 ‘비빌 언덕’으로서의 역할론도 가능하다. 때문에 집권당이 합리적·투명한 공천심사 없이 당 지도부에 의한 인위적 물갈이로 이어질 경우 결과적으로 탈당 후 ‘제3의 길’이라는 세결집의 퇴로가 가능하다. 특히 물갈이를 당한 현역 의원들의 정치적 영향력에 따라 당해 지역구별 여론은 달라질 수도 있다. 여론 추이에 따라 ‘억울함’의 논리개발로 동정론을 유도할 수도 있고, 물갈이 낌새를 선제적으로 알아 채고 탈당을 감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향식 공천, 즉 당헌·당규에 의한 합리적 경선결과에 낙천될 경우 탈당은 가능하지만 현행 공직선거법에 의해 22대 총선 출마는 원천차단 된다.

이러한 미묘한 현실을 이미 체험한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대표를 지낸 김무성 전 의원은 22일 “당헌 당규에 있는 상향식 공천을 통해 모두를 품어 분열 없는 공천으로 이기는 선거를 하는 것만이 살길”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6년 총선 공천 과정에서 당·청 갈등, 진박(진짜 친박근혜) 감별 논란 등에 따른 ‘공천 파동’을 겪었기 때문이다. 특히 파행 공천 결과로 예상 밖의 총선 패배라는 아픔을 겪은 당시 여당 대표로서 인위적인 현역 물갈이를 통한 공천 대신 상향식 공천 원칙을 최대한 지켜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