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원 1명이 학대사례 65명 관리…울산 아동학대 사각지대 우려
2023-10-30 오상민 기자
29일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에서 실제 아동학대 사례로 판단된 건수는 2020년 1250건, 2021년 2669건, 2022년 1708건 등 연평균 1875건이었다. 이들을 상담하는 상담소는 2곳의 아동보호전문기관에 각 14명, 15명 등 총 29명의 아동학대 상담원이 근무하고 있다.
상담원 1인당 64.7건의 사례를 상담하고 있는 셈이다. 가족 구성원에 따라 더 많은 인원을 상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상담원 1인당 사례관리 수는 전국 평균(36.7건)의 1.7배 수준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인천 68.6건(2468건·36명) 다음으로 많다. 가장 적은 충북(21.7건)에 비해 3배 정도 많다.
전국적으로 아동 재학대 발생 건수가 2019년 3431건에서 지난해 4475건으로 1000여건 이상 증가하는 등 아동학대 상담사의 업무 강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상담사 인력 충원 등 전반적인 아동복지체계 점검 필요성이 제기된다.
시 관계자는 “울산은 아동보호 인식이 높아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추세로, 아동학대 발견 건수가 전국 1위 수준”이라며 “상담사 인력확충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울산에 연고를 둔 5명의 학대피해 아동은 타 지자체 학대피해아동쉼터를 이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울산 학대피해아동쉼터는 올해 남구에 쉼터가 조성되면서 5개 구·군에 1곳씩 총 5곳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51%의 수용률을 보이는 등 쉼터 여건 문제가 아닌 ‘집중관리대상 아동’의 타 지자체에 소재한 전문기관 입소라는 설명이다.
이 외에도 19곳의 위기아동보호가정과 아동일시보호시설 1곳이 설치·운영 하고 있으며 학대피해장애아동쉼터 2곳도 추가로 조성될 예정이다.
오상민기자 sm5@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