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회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힘 보탠다
2023-11-01 신형욱 기자
31일 울산시의회에 따르면 시의회는 1일 개회하는 제242회 제2차 정례회 1차 본회의에서 공진혁 의원을 대표로 의원 전원이 발의한 ‘울산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촉구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이다.
결의안은 “울산시가 원전·화력 등 에너지 인프라뿐만 아니라 태양광, 해상풍력, 수소연료전지 등 분산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에너지 다소비업종인 기업군이 밀집되는 등 수요도 풍부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적지”라고 전제했다.
이어 최근 국가 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돼 기업들이 효율적이고 원활한 에너지 수급을 통해 안정적인 기업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절실하지만 전력 자립도가 낮은 수도권과 동일한 송전 손실 비용 부담으로 기업 경제 성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면 울산에 분산에너지 설비가 확대·구축돼 주력산업과 에너지신산업의 융복합을 통한 하이브리드 산업도시 조성, 더 나아가 균형있는 국가 발전을 실현케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울산시가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추진 전략 로드맵 마련, 관련 사업 추진 등에 지역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 조성에 총력을 다하고 있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적지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며 울산 지정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이에 시의회는 울산시가 산·학·연 연대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연계 사업 발굴 및 분산에너지 지원 인프라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산업통상자원부는 분산에너지 보급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내실 있고 실효성 있는 하위법령 준비 및 지속가능한 구체적인 종합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
아울러 정부와 산업부가 공업도시 울산의 특수성을 연계한 시너지 산업 육성과 균형 잡힌 국가 발전을 위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최적지인 울산시 지정을 적극 검토하라고 결의한다.
시의회는 결의안 채택 후 대통령실과 국회, 산업통상자원부, 울산시, 한국에너지공단에 결의안을 송부할 계획이다. 신형욱기자 shin@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