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메가시티’에 동남권·해오름동맹 눈길

2023-11-07     김두수 기자

여권발 ‘메가시티 서울’ 추진이 비수도권까지 확대를 시도하고 있는 가운데 울산·부산·경남을 한데묶는 이른바 ‘동남권 메가시티’가 다시 영향을 받게 될지 주목된다.

경기도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통한 ‘메가시티 서울’의 연장선에서 비수도권 메가시티 확대의 중심부는 울산 출신 김기현(남을) 대표다. 때문에 같은 당 소속 김두겸 울산시장의 입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권 지도부가 윤석열 정부 집권 3년차 치러지는 내년 4월 22대 총선에 사활을 걸고 있는 상황에서 ‘김기현발 비수도권 메가시티’ 확대에 따른 동남권 시도 정부의 입장과 여론 추이 역시 귀추가 주목된다.



◇동남권 메가시티 재논의 가능성 낮아

동남권 메가시티는 문재인 정부(2017~2022) 임기중 민선 7기 더불어민주당 소속 송철호 울산시장·오거돈 부산시장·김경수 경남도지사 등이 적극 추진했다.

하지만 지난해 3·9 대선에서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민선 8기 김두겸 울산시장·박형준 부산시장·박완수 경남도지사 등이 부울경 메가시티(부울경 특별연합)를 폐지하는 대신 부울경 경제동맹으로 전환했다. 특히 김 시장은 부울경 경제동맹에다 포항과 경주를 벨트로 하는 ‘해오름동맹’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다.

이런 가운데 김기현 대표는 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비수도권도 주민들이 원할 경우 메가시티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비수도권에서도 주민들이 뜻을 모아 지역별 거점 역할을 하는 메가시티를 키우겠다는 의지를 표명해 오시면, 주민의 뜻을 존중해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김포를 비롯한 서울 인근 지역을 합쳐 확장하는 ‘메가시티 서울’ 구상이 수도권 집중을 심화하고 지방균형발전에 역행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나아가 “주민을 위해 행정구역이 존재하는 것이지, 행정구역을 위해 주민이 존재하는 게 아니다.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으로 결정하는 하향식에서 벗어나, 주민 의견이 우선되는 상향식으로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부울경 메가시티는 이미 지난해 국민의힘 3개 시도지사의 공동 합의로 백지화를 결정한 뒤 경제동맹으로 완전 전환된 상황이다. 특히 부산시와 경남도가 행정통합을 시도했으나 양 시도 주민대상 여론조사 결과 반대로 나타나 불발된 적이 있다.

김 대표가 여권의 주요 정책인 메가시티 추진과 관련 ‘주민여론 우선’이라는 관점에서도 다시 메가시티로 회귀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지역 행정계의 중론이다.



◇김두겸 시정부의 입장

김두겸 시장은 김 대표와 정치적·인간적 상시적 신뢰관계가 구축된 상황에서 공개적 반대입장은 표명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미 부울경 메가시티의 대안으로 구축된 3개 시도 경제동맹을 통해 상생발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포항·경주를 벨트로 하는 해오름 동맹 등 ‘투트랙 전략’을 구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 김 시장은 최근 중앙지방협력회의에 참석해 울산, 포항, 경주를 잇는 ‘해오름산업벨트 지원 특별법’ 제정을 건의하는 등 부울경 특별연합의 대안으로 해오름 동맹을 강화한다는 입장을 강조해 왔다.

‘해오름산업벨트 지원 특별법’ 제정은 3개 도시 경제의 기틀인 중화학(자동차, 조선해양, 석유화학, 철강소재) 산업의 규제 해소와 특례를 강화한 ‘슈퍼 산업권’을 만들어 경쟁력을 끌어올리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현 상황에서 울산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부분을 찾는다면 그 상대는 신라권이 될 것이며, 경주·포항과 힘을 모아 하나의 권역을 형성해 몸집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김정익 시 정책기획관은 이날 “울산시는 부산·경남을 상생하는 동남권 경제동맹과, 포항·경주를 벨트로 하는 해오름 동맹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면서 산업수도 울산이 대한민국의 경제중심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며 “시민들의 여론 흐름에 맞춰 시정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했다.

김두수·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