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공천로드맵 속도…울산 예비주자들 촉각

2023-11-13     김두수 기자
22대 총선을 4개월여 앞둔 울산지역 원내외 여야 총선 주자들이 각각 자당의 ‘공천 계산법’의 유불리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불공정 공천이 이뤄질 경우엔 ‘신당 참여’ 등의 방식으로 정면 돌파한다는 전략도 병행키로 해 주목된다.

이는 여권은 ‘친윤’(친윤석열) 중심으로, 야권은 ‘친이’(친이재명) 중심 인물로 불공정 공천 시비가 불거질 경우 신당 참여 등으로 공세적 대응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국민의힘을 중심으로 범여권 총선 주자들은 이른바 ‘이준석 신당 창당’을 예의 주시하는 한편, 인요한 혁신위원회의 개혁공천 여론 흐름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12일 여권에 따르면 이준석 전 대표는 최근 신당 창당시 수도권에 기반을 두면서 ‘보수 텃밭’인 영남권에도 지역구 후보를 대거 출마시키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수도권 정당을 표방하며 영남에서도 30여곳의 지역구에 후보를 내기로 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울산지역 A 원외 총선 주자는 이날 본보와의 전화에서 “인요한 혁신위의 활동에 이어 당 지도부의 개혁 실천의지가 시원찮다라는 비판 여론이 많은게 사실”이라면서 “가장 큰 문제는 역시 공정 공천인데, 불공정 시비가 불거질 경우엔 주저앉는 게 아니라 신당행으로 정면돌파하는 방법밖에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B 예비주자 역시 “만일 공천심사에서 뚜렷한 이유 없이 ‘컷오프’를 시킬 경우엔 지지자들이 조용히 물러날 가능성이 있겠느냐”라고 반문하면서 “울산에는 상대적으로 젊은 유권자들이 많은 현실에서 ‘이준석 신당’이 실제 창당되면 무시할 수 없을 것이란 여론도 있다”고 기류를 전했다.

C 예비주자의 경우엔 당 지도부에 의한 ‘인위적 물갈이’가 현실화 될 경우에 대비, 향후 신당이 구체화되면 물밑 채널을 가동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한발 더 나아갔다.

상대적으로 울산을 ‘험지’로 분류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총선 주자들은 일단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가 꾸려짐에 따라 내달 12일부터 예비후보 등록 준비에 들어갔다.

특히 울산지역 총선 주자들은 △친이재명계 △친문재인계 △친정세균계 △친이인영계 등 다양한 정치 계보로 갈려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울산 총선 주자들은 ‘친이재명계’ 외에 공천 불공정 가능성을 주시하면서 각개전투식 대응기조를 잡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앙당에 설치된 후보자검증위는 총선 예비 후보자 자격심사, 도덕성 검증을 한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