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국인 근로자 조선업 떠나는 주이유는 ‘낮은 임금’

2023-11-16     이춘봉

조선업에 종사하는 울산 내국인 근로자들의 주요 이탈 사유가 업무 강도에 비해 낮은 임금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난 해소를 돕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현재 직무에 만족하는 가운데 체류 기간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울산상공회의소 울산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는 지역 조선업체 내국인 근로자 200명과 외국인 근로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울산 지역 조선업 변화와 과제-재직자와 외국인 근로자를 중심으로’ 조사 보고서를 15일 발간했다.

울산인자위는 조선업 지원 제도를 분석해 내국인 재직자들의 이직 방지 방안을 마련하고, 최근 크게 늘어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개선 과제를 찾기 위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내국인 근로자들의 이·전직 희망 사유는 ‘적은 보수’가 48.4%로 가장 높았다. ‘더 나은 곳으로의 취업 기회’(17.6%) ‘열악한 근무 환경’(16.5%) 등이 뒤를 이었다.

내국인 재직자의 근속을 위해 필요한 지원 정책은 ‘근로 환경 및 처우 개선’(30.3%), ‘임금 인상’(24.4%)이 꼽혔다.

지역 조선업 협력 4사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면접 조사에서도 ‘업무 강도 대비 현실적이지 못한 임금 수준’이 내국인 재직자의 주요 퇴사 사유로 거론됐다. 타 산업과의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원·하청 간 근무 환경·조건 격차 완화도 시급하다고 답변했다.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현재 직무 만족도는 ‘매우 만족(12.9%)’ ‘만족(41.6%)’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재직 중인 기업에서의 근속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그렇다(84.2%)’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재직 중인 기업에 근속할 의지가 없는 경우 사유를 답하라는 문항에는 응답자의 70%가 답하지 않아 대다수 참여자가 근속 의지를 보였다.

체류 기간 만족도를 묻는 문항에는 ‘불충분하다’는 응답이 48.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체류 기간을 늘려 장기적인 근무를 원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상당수 존재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 중인 지역 조선업 협력 4사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접 조사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채용 쿼터제 폐지’가 공통적으로 거론됐다. 조선 산업의 특성상 내국인 중도 이탈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할 수 있는 비율이 줄게 돼 인적 충원에 큰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보고서는 울산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