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수소트램 조기개통 위해 국비확보에 전력투구해야

2023-11-23     경상일보

울산이 수소전기트램의 첫 출발지라는 것은 시민들에게 큰 자부심이다. 또 울산이 수소트램의 메카라는 점을 널리 알릴 경우 ‘첨단산업 도시’ ‘친환경 도시’ ‘관광도시’라는 이미지 개선 효과도 불러올 수 있다. 그런데 ‘세계 최초 상용화 타이틀’라는 울산의 타이틀이 흔들리고 있다. 국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는 사이 대전시는 대전 2호선을 수소트램으로 변경하고 현재 적정성 검토를 하고 있다. 자칫 울산 트램이 대전 수소트램의 ‘아류’로 떨어질 위험에 처한 것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 수소트램은 지난 8월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했으며, 현재 기본계획 수립이 진행되고 있다. 내년 8월부터 시작되는 실시설계를 위해서는 내년도 국비가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렇지 않으면 실시설계가 늦어져 2029년 개통조차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원래 울산은 2029년 1월 개통 예정이었다. 반면 대전에서는 2028년 개통을 목표로 도시철도 2호선에 수소트램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이 적정성 재검토를 하고 있는데, 이 사업이 통과된다면 오는 2028년 개통하게 된다. 하지만 난공사가 많아 2028년 개통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현재로서는 두 도시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다투고 있는 상황이다.

울산이 수소트램의 출발지로 남으려면 어떤 방법으로든 실시설계 관련 국비 55억원을 확보해야 한다. 정부 예산안은 이미 확정된 만큼 남은 방법은 국회에서 증액하는 길 뿐이다. 따라서 울산시와 울산 출신 국회의원들은 필사적으로 이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알려진 바로는 정부 또한 울산 수소트램 관련 예산의 시급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지방 국비사업이라는 것이 대부분 그렇듯이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매달리지 않으면 날아가버리기 일쑤다. 그렇게 되면 또 1년의 허송세월을 보내야만 한다.

현재 울산에서는 수소트램 실증사업이 올 연말까지의 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산업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전담하고 있는 이 실증사업의 결과는 울산 수소트램과 대전 수소트램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에서 실증을 마친 수소트램이 울산이 아닌 다른 도시에서 적용된다고 생각하면 울산시민들은 자괴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지난 14일 울산항역에서는 많은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수소트램 첫 시승 행사가 열렸다. 울산 수소트램이 ‘세계 최초’의 상용 수소트램이 되도록 모두가 힘을 모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