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현대차 RE100 시동, 울산형 분산에너지 활성화 전기돼야
현대자동차가 2050 탄소제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 전력의 100%를 재생 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 조기 달성에 나섰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을 사용해 환경에 친숙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려는 탄소경영의 일환이다. 현대차는 글로벌 RE100 권고 목표보다 5년 빠른 ‘2045 RE100 조기 달성’을 목표로 뛰고 있다.
현대차를 비롯한 울산지역 기업들의 탄소 배출 저감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하기 위한 탄소경영에 속도가 붙고 있다. 그런데 전력의 100%를 재생 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 목표를 실현하려면 친환경 연료 전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구축 등 막대한 투자비가 큰 부담이다. 이에 따라 울산과 기업들의 탄소중립과 RE100 목표 달성을 위해 분산에너지특구 지정과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
현대차는 23일 울산공장에서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인 현대건설과 태양광 재생에너지 PPA(전력구매계약)를 체결했다. 현대차는 2025년까지 울산공장에 필요한 에너지 가운데 64메가와트(㎿)를 태양광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예정이다. 이 계약은 현대차의 RE100 조기 달성 방안의 일환으로 체결됐다. 현대차는 지난해 4월, 2050년까지 ‘글로벌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한 바 있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2030년까지 국내외 전체 사업장 전력의 6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방침이다.
기업들이 이처럼 탄소중립·RE100 달성에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는 글로벌 환경 보호 및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법적 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비롯해 각국의 탄소세 부과는 이미 수출 기업들에게 영항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국내 제조분야 대기업 10곳 중 3곳은 글로벌 수요기업으로부터 제품 생산과정에서 재생 에너지의 사용을 직·간접적으로 요구받았다는 대한상의 조사 결과도 있다.
기업들이 RE100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수출 경쟁력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다만, 대규모 투자는 대기업은 물론 중소· 중견 기업에겐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울산의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미미(2.6%)한 수준이다. 지역 내에서 전력을 생산·소비할 수 있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적극 활용해 울산형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신재생 에너지산업 육성과 연계한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에 힘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