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조선업센터 폐쇄 위기,‘수주대박’ 조선업 찬물 끼얹을라
울산 조선업 구인난 해소와 고용서비스 지원을 업무를 맡아온 울산조선업도약센터가 이달 말 폐쇄될 운명에 처했다. 고용노동부의 내년도 ‘지역 고용위기 대응지원 사업’ 예산이 삭감됐기 때문이다. 지난 6년여간 운영해오던 조선업희망센터 간판을 떼고 그 역할을 대신해 온 조선업도약센터도 개소 8개월 만에 폐쇄될 운명에 처한 것이다. 자칫 업황 호조로 수주대박을 터트리고 있는 울산 조선업계 인력수급에 차질이 우려된다. 울산시와 동구, 정치권은 후속 대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내년도 고용위기지역 지정 해제 충격 완충과 관련한 공모사업 예산을 전액 삭감해 국회에 제출했다. 이에 따라 지난 4월17일 동구 일산동에 문을 열어 취업알선 서비스를 제공해 온 울산조선업도약센터도 문을 닫을 위기에 직면했다. 총 운영비 15억원 중 국비 12억원이 끊긴다면, 정상 운영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울산시와 동구는 정부의 다른 공모사업 등을 통해 지속 운영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지만, 공모사업 탈락시는 거의 대안이 없다.
이대로 센터의 문을 닫는다면 업황 수퍼사이클에 올라탄 울산 조선업계에 대한 맞춤형 고용 서비스 지원 기능도 약화할 게 불 보듯 뻔하다. 이 때문에 HD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을 비롯한 조선업계는 센터의 지속적인 운영을 요구하고 있다. 업계는 조선업 맞춤형 취업·채용 지원 서비스를 통해 인력 확보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고용 효과가 큰 조선과 자동차·석유화학을 주력산업으로 하는 울산경제 회복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조선업 부활은 일자리를 창출해 울산 인구 감소를 저지하는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지난 9월 울산의 인구는 7년4개월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그 원인을 분석해봤더니 외국인 근로자 유입 확대가 그 중심에 자리하고 있었다. 특히 동구의 경우 외국인은 22개월, 내국인은 4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조선업 부활이 일자리 증가와 울산경제 회복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울산 조선업이 고용위기지역에서 해제되고 선박 수주 일감이 많이 늘어났다고 해서 위기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다. 청년층의 기피 등으로 조선업 고용시장의 미스매치 현상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또 중소 조선 협력사들은 미납된 4대 보험료 납부 부담과 인력 부족 문제로 경영난에 처해 있다. 울산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조선업 정상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