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대규모 정전사태, 원인과 대책은]28년된 옥동변전소 개폐장치 노후화 지적
지난 6일 발생한 울산지역 대규모 정전 사태는 옥동변전소의 노후 설비를 교체하는 작업 중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무엇보다 옥동변전소의 개폐장치가 설치된지 28년이나 지난 것으로 드러나 노후화에 따른 사고우려도 높아 재발 방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7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지난 6일 한전은 개폐장치를 교체하던 중 전력을 공급하는 2개 모선 중 1개 모선을 정지시킨 뒤 작업에 들어갔다. 하지만 오후 3시37분께 작업 도중 다른 쪽 모선 개폐장치에 이상이 생기면서 해당 변전소가 전력을 공급해오던 남구 옥동과 울주군 지역 등에 정전이 발생했다.
고장의 원인은 개폐장치 내부의 절연파괴로 추정된다. 개폐 장치는 전기를 공급하거나 중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정전 피해는 지난 8월 울산을 강타한 태풍 카눈으로 입은 5902가구 규모의 정전 피해보다 컸다.
특히 지난 2017년 서울·경기에서 발생한 20여만 가구의 정전사고 이후로는 가장 큰 규모다.
전체적인 교체 주기는 설비별로 20~30년 전후로 진행되고 있다. 이날 작업 중이던 옥동변전소 개폐장치는 지난 1995년 준공된 노후 장치였다. 울산에는 모두 27곳의 변전소가 있다. 이중 1990년대 준공된 변전소는 12곳에 달한다.
이 때문에 각 변전소의 노후 정도에 따라 점검·보수 체계를 재정비하는 등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설비에 대한 정확한 노후 정도에 대한 현황 파악 또한 시급하다.
아울러 전기설비에 대한 피해 보상 방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보상 방안에 대한 안내를 구체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7일 오전까지 울산 정전과 관련해 100여건의 피해가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신고는 대부분 상업시설과 관련됐다.
한전은 직접적인 책임이 경과실인 경우에 한해 전기공급이 중지되거나 사용이 제한된 경우 정전시간동안 전기 요금의 3·5·10배를 손해배상 한도액으로 배상받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이 관련 약관에 따라 한전의 직접 책임을 밝혀야 한다.
한전은 긴급 고장조사반을 가동하는 한편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한전 측은 “공사가 끝난 뒤 정확한 원인 파악이 되면 완전히 정상화됐다고 할 수 있어 철저한 원인 규명에 나서겠다”면서도 “원인을 정확히 규명해 전기공급 약관에 따라 보상 등 대안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