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절벽, 울산교육 체질개선 없인 미래 없다]콩나물교실·복식학급 공존, 중장기 학급조정 방안 필요
2023-12-13 박재권 기자
◇학교 통폐합 공감대 형성 우선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울산지역 곳곳에서 학교 통폐합 논의가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학부모들은 부정적인 입장이라 난항을 겪는 중이다.
지난 10월께 울산 북구에 위치한 A중학교와 B중학교 간 통합 추진과 관련해 학부모 대상 설명회와 설문조사가 실시됐다.
울산시교육청 적정규모 육성에 대한 권고기준에 따르면 학생 수 도시 200명 이하, 농어촌은 60명 이하가 대상이다. 적정규모학교 대상이 되면 △학교 통폐합 △신설학교 대체 이전 재배치 △학교 통합 운영 등의 조치를 내릴 수 있다.
B중학교는 학급 수 9개, 학생 수 199명으로 소규모 학교로 분류돼 통폐합 검토 대상에 올랐다. 하지만 설문조사 결과 대상 학부모 183명 중 133명이 응답, 이 중 111명(83%)이 반대해 통합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학부모 과반수 이상이 반대할 경우 통폐합을 추진할 수 없도록 돼있다. 북구의 C초등학교 통폐합 논의도 마찬가지 이유로 이전 재배치로 결정났다.
앞서 지난 9월께에는 울산 남구 소재 D·E 초등학교도 통폐합이 추진됐으나 학부모 반대가 우세해 무산됐다. 특히 D·E 초등학교의 경우 울산 도심 내에서 사실상 처음으로 통폐합 움직임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라 관심을 모았다.
그간 분교 등 이런 움직임이 이어졌던 외곽지역과 달리 도심 내 학교간 통합이 실제 추진될 경우에는 당장 원거리 통학문제부터 통폐합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 적응 문제 등이 유발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같은 이유로 학부모들은 학교 통폐합을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교육계는 학령인구가 줄면서 울산에서도 꾸준히 통폐합이나 이전 재배치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교육부가 지난 8월 발표한 2023년 교육기본통계 주요 내용에 따르면, 울산의 유·초·중등 학생 수는 지난 4월 기준 14만2602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2000여명 감소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로 울산에서 통폐합이나 이전 재배치 논의는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규모나 계획 수립까지는 장기적인 과제로 본다”고 말했다.
◇학생수 불균형 해결책 시급
학생 수가 급감하는 가운데, 시교육청은 지난달 중기 학생배치계획을 통해 학급뿐만 아니라 학년까지 통합하는 ‘복식학급(2개 학년 학생수 합이 8명 이하)’ 운영 방침을 발표했다. 이에 올해 4곳이었던 복식학급 운영 학교가 6곳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그러자 해당 학교(두서초, 소호분교, 장생포초 등) 학부모들은 즉각 작은학교살리기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복식학급 제도 폐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시교육청은 내년 1월 가 입학식 학생 수에 따라 복식학급 운영에 변동이 있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시교육청 일대에는 여전히 이를 반대한다는 현수막이 내걸려있다.
일선 학교 현장에서는 학급 당 학생 수가 늘면서 학습권이 침해되고, 교사 업무도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반면 울산 북구나 중구의 모 초등학교의 경우 과밀학급 문제를 겪고 있다. 아파트 준공으로 인해 전입 세대가 늘었기 때문이라는 게 시교육청의 분석이다. 뿐만 아니라 남구 신정초, 옥동초, 동구 미포초 등은 학급 당 인원이 25명 안팎인 상태다.
시교육청은 북구의 초등학교는 오는 2025년께 학교 이전 재배치로 학생 수를 조절하겠다는 방안을 세웠다.
일선 학교 현장에서는 학급 당 학생 수가 늘면서 학습권이 침해되고, 교사 업무도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초등학교 교사는 “학생 수가 적으면 적은대로, 많으면 많은대로 문제가 있다”며 “교사도 교사지만 결국 학생들의 학습권이 얼마나 보장되는 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