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정전사태’ 원인 규명 및 재발 방지책 서둘러야
정부가 ‘울산 정전사태’에 대한 원인 규명을 위해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사고 조사반을 가동한다. 울산 정전은 지난 6일 옥동변전소 설비 고장으로 남구와 울주군 일대에서 17만가구 이상이 전력공급 중단으로 피해를 본 사고다. 이 사고는 2017년 서울·경기에서 발생한 20만여 세대 정전 이후 6년 만에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됐다. 자동차, 석유화학, 조선 등 중후장대형 장치산업이 밀집한 울산에서의 정전사고는 주민 생활 불편은 물론 엄청난 산업 손실을 초래한다. 정부는 사고발생 원인을 정확히 가려내 정전 재발 방지대책을 조속히 추진해야 할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강경성 2차관은 14일 서울 성동변전소에서 겨울 전력수급 대책 등 비상상황 대응체계를 점검하면서 “최근 울산 정전으로 국민 불편과 우려가 큰 만큼 즉시 고장 조사반을 가동했다”고 밝혔다. 그는 “객관적이고 엄중한 조사를 통해 고장 원인을 명백히 밝혀내겠다”고 했다. 전력거래소, 전기안전공사, 전기연구원 및 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반은 약 1개월간 정전사고의 원인을 파악할 예정이다.
울산 정전은 지난 6일 오후 3시40분께부터 2시간 동안 지속됐다. 이 사고로 남구와 울주군 지역 아파트를 비롯해 각급 학교, 상점, 병원, 공공기관, 기업체 업무가 한동안 마비됐다. 신호등 작동이 멈춘 도로는 수많은 자동차들이 뒤엉켜 아수라장을 방불케 했다. 한전측은 1995년 준공된 노후시설인 옥동변전소 내 변압기 부품 고장 때문에 정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울산의 정전사태는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 2020년 9월에는 제9호 태풍 마이삭과 제10호 태풍 하이선이 잇달아 울산을 관통하며 최악의 정전사태로 도시가 마비되기도 했다. 당시 원자력발전소 가동이 중단되면서 울산 석유화학단지 기업들은 수백억 원대 생산 피해를 입었다. 2014년에도 태풍으로 인한 순간 전압강하로 기업들이 생산차질을 빚은 바 있다. 특히 지난 2011년 12월에는 16분간 전력공급이 중단돼 울산 석유화학공단 기업들이 수백억 원대의 피해를 봤다.
산업도시 울산에선 최근 수년 새 정전사고가 빈번해지고 있다. 대형 사고 발생 전에 수십 차례의 경미한 사고와 수백 번의 징후가 나타난다는 ‘하인리히의 법칙’을 연상케 할 정도로 사고 빈도가 잦다. 정전이 발생하면 주력 기업들의 가동중단은 물론, 이로 인한 환경오염 발생 우려까지 커진다. 정부와 한전은 변압기, 개폐기 등 노후 전력설비에 대한 전면 재검을 통해 보수·정비를 서둘러야 한다. 혹여 한전의 재정 위기를 이유로 노후 전력설비 보수를 소홀히 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