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의회권력 탈환 vs 수성 본격 쟁탈전
내년 4월 제 22대 총선이 10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유권자들에게 ‘국정 안정’을 호소하며 윤석열 정부가 일할 수 있는 의회 지형을 만들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특히 여소야대 한계 속에 정부가 주요 국정과제를 제대로 추진하지 못했던 만큼 이번 총선에서 의회 권력을 탈환해야만 비로소 진정한 정권 교체가 완성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어게인 2022’ 전략을 펼치고 있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총선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함으로써 반환점을 도는 정권 후반기 국정 운영에 제동을 걸겠다는 전략이다.
직전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잇달아 패배한 민주당으로선 ‘정권 심판’을 앞세워 전국 단위 선거 2연패의 고리를 끊어내고 향후 정권 탈환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과제다.
총선 결과에 따라 여야 간 희비는 극명하게 엇갈릴 전망이다.
국민의힘이 과반 의석을 확보할 경우 정부·여당은 정국 주도권을 갖고 거대 야당의 벽에 막혔던 국정과제 입법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차기 정권 재창출을 위한 안정적 국정 관리에 주력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민주당이 정권 심판론을 타고 의회 권력 수성에 성공할 경우 윤석열 정부는 조기 레임덕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민주당은 이와 동시에 이재명 대표 체제를 강화하면서 정권 교체 프레임을 한층 공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까지 여론의 흐름은 ‘정권 견제론’이 ‘정권 지원론’을 앞서는 모습이다. 이동통신 3사 제공으로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 전화조사원 인터뷰로 2023년 12월 5일부터 7일까지 진행돼 지난 8일 발표된 갤럽 조사(표본오차 95% 신뢰 수준에 ±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에서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35%,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가 51%였다. 동일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32%였다.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 주요 변수로는 우선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율과 한동훈 비상대책위의 순항 여부,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와 당내 통합 문제 등이 꼽힌다.
여야의 인적 쇄신 폭, 제3지대 신당의 파급력도 눈여겨볼 변수다.
27일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신당 창당에 나선 이준석 전 대표 중심의 제3 신당과 이미 신당을 만든 양향자 의원, 금태섭 전 의원 등과 이들 간의 합종연횡으로 제3지대 ‘빅텐트’가 가시화될 경우 양당 구도를 뒤흔들 변수가 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선거제 협상 결과도 주요하게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번 총선은 또 차기 대권주자들의 명운과도 맞물려 미래 권력을 둘러싼 전초전 성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인 한동훈 비대위원장과 이재명 대표는 여야 대표로서 총선을 진두지휘하게 됐다. 승리 시 대권가도에 탄력을 받겠지만, 패배한다면 책임론이 대두되며 활동 반경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