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고령화에 울산 복지정책 새판 짜기

2024-01-03     석현주 기자
울산지역 출생아수가 최근 5년새 반토막 난 가운데 60세 이상 노인인구는 두 배 가량 증가했다. 젊은 도시 울산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할 만큼 가파른 속도로 학령인구가 줄고, 고령인구는 늘고 있다.

이에 맞춰 올해 울산시 복지 정책도 출산 장려, 고령친화도시 실현에 방점이 찍힐 것으로 전망된다.

2일 울산시가 발표한 ‘2024년도 주요업무계획’에 따르면 올해부터 기존 출생아당 200만원이던 다자녀 출산 가정 첫 만남 이용권이 첫째 200만원, 둘째 300만원으로 지원금이 확대된다.

올해 5세 아동에 월 13만8000원 지원하던 어린이집 부모부담 필요경비는 내년 4~5세, 2025년에는 3~5세로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기존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난임부부와 고위험 임산부, 미숙아·선천성 이상아에게 지원하는 시술비와 의료비는 소득과 상관 없이 지원 받을 수 있다. 특히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에는 총 18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부부(사실혼 포함)가 가임력 보존 목적으로 냉동한 난자를 임신·출산에 사용하는 경우 냉동난자 해동 및 보조생식술 비용을 부부당 2회까지, 회당 최대 100만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총 32억원을 들여 산모와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을 확대하고, 모든 출산가정에 산후조리비(50만원)를 지원하는 등 산후 건강관리도 촘촘하게 진행된다.

한편 최근 5년간 출생아수가 40% 넘게 줄어든 것과 달리,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18만8000여명에서 26만여명으로 40% 가량 늘었다.

고령화 추세에 맞춰 시는 고령친화도시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인증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고령친화도시로 재인증 받았고, 2기 실행 계획을 기반으로 2027년까지 5년간 36개 사업에 4조4000억원 투입, 늘 삶이 좋은 고령친화도시 울산을 조성하기로 했다.

또 250억원을 투입해 조성되는 제2시립노인복지관도 올해 완공돼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아울러 노노케어, 스쿨존 교통 지원, 보육교사 보조 등 맞춤형 노인 일자리 사업에는 무려 689억원이 투입된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