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협업·인력수급 애로 대책 절실”
2024-01-17 차형석 기자
국민의힘 중소기업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울산시의회 1층 시민홀에서 울산시·울산테크노파크·한국자동차연구원 주관으로 ‘미래자동차 부품산업의 전환촉진 및 생태계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미래차부품법) 권역별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자동차 부품기업 대상 ‘미래자동차부품산업특별법’ 홍보와 하위법령, 기업체 애로사항 등에 대한 의견 청취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경기·충청(1월10일), 대구·경북(1월12일)에 이어 세번째로 울산·부산·경남 권역에서는 울산에서 열렸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이은희 산업통상자원부 미래모빌리티팀 팀장의 ‘미래차부품산업특별법’ 내용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조성욱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사무관의 ‘2024년 미래차 R&D 지원방향’ △오윤석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단장의 ‘부품기업 미래차 사업전환 사례’ 등을 발표했다.
조성욱 사무관은 “미래자동차 연구개발 추진방향은 전기차는 획기적인 1회 충전 주행거리와 고안전 기술 확보, 수소차는 연료전지 효율개선 등 핵심부품 성능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윤석 단장은 양산형 수소·배터리 하이브리드형 드론 개발 및 제작 등 부품기업 전환 사례를 소개한 뒤 “실질적인 사업화까지 진행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후속 지원방안이 필요하고, 완성차와의 협업 기회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부품산업 정보 공유와 기업 규모 등에 따른 차별화된 맞춤형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부품기업 토론회’에서는 김병우 울산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곽성복 덕양산업(주) 상무, 이상민 디아이씨 이사, 이기재 우수정기(주) 대표, 최성재 (주)케이에이알 대표가 패널로 참석해 미래자동차부품산업특별법 하위법령에 대한 의견과 미래차 전환 과정의 현장 애로사항, 혁신기관 간 협력 방안 등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다.
지역 자동차부품업계에서는 자동차 부품 지원 분야 확대 요구와 함께 실질적인 사업화까지 진행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후속 지원 방안을 요청했다.
또한 대기업과 개발 관련 협업 및 데이터 공유, 소프트웨어 등 전문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책의 목소리도 나왔다.
한편 미래차부품법은 정부가 내연기관 중심으로 이뤄진 국내 자동차 부품 생태계를 자동차 산업의 자율주행·전동화에 맞춰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